재부광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지난 10년 동안 중공의 공업 생산은 2·5배 늘어났다. 식량 생산은 1·5배, 소비재 생산은 3·1배, 자본재 생산은 2·5배, 에너지생산은 1·6배, 수출은 7O억 달러에서 2백73억 달러로.
중공의 한 농부는 말한다.『아버지는 꽃을 재배했었는데 10년 전 홍위대의 소박을 맞고 나서, 나는 품팔이를 나서야 했지요. 지금은 꽃을 재배하며 재미를 봐 2층집에서 냉장고와 컬러TV를 놓고 삽니다』(근착 유 에스 뉴스 앤드월드 리포트지)
9월9일은 모택동 사후 10년이 되는 날이다. 그 10년 동안 중공을 다스려온 등소평은 분명히 모택동의 분신은 아니었다.
모택동의 경제정책은 속칭『무쇠밥그릇』(iron rice bowl)정책이라고 한다. 사람들이 일하든 말든 밥을 먹여준다는 식이다. 그 결과는 모든 사람의 배를 불려주기 보다 모든 사람의 배를 평균하게 곯게 만들었다.「처칠」의 말마따나「빈곤의 평등」이다.
그러나 지금 중공 농촌의 빈곤인구는 1979년의 31%에서 6%로 줄어들었다. 또 요즘은 웬만한 농가에선 하루에 계란 하나씩은 먹는다.『획득재부 시광채적』등소평의 슬로건이다. 부자가 되는 것은 영광스런 일이다―.
오늘의 중공이 10년 전과는 비교도 할 수 없게 윤택해진 것은 바로 등소평의 「재부광채」정책이 가져온 결과다.
이른바 그의 사회주의적 시장경제정책은 수요· 공급에 의한 시장경제 역할의 확대와 중앙 집중적 규제의 완화를 혼합한 경제정책이다. 따라서 가격통제를 풀어놓았고 그 결과 생산력이 오르고, 품질 경쟁이 가능해졌다.
모든 경제활동은「이윤추구」를 먼저 생각하게 되었다. 사람들은 또 제각기 자기가 할 일을 찾게 되었다. 자기 위치에서 일하면 일한 만큼의 보상과 때로는 보너스도 받을 수 있고, 힘들면 쉴 수도 있다. 중공의 생산성은 연5·5%씩 증가하고 있다. 유 에스 뉴스 지는 근대에 접어들어 그런 높은 생산성은 한국과 그리스밖에 볼 수 없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중공의 그와 같은 변화를 두고『제2의 혁명』이라고 말한다.「문화혁명」다음의 혁명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오늘의 중공엔 두 가지 고민이 있다. 하나는 82세의 등소평이 죽고 나면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미래의 고민과 빈부의 격차가 늘어가는 오늘의 고민이 그것이다.
앞서의 고민은 미국의 한 학자 말을 빌면『중공은 이미 강을 건넜다』뒤로 돌아설 수는 없을 것이라는 얘기다. 두 번 째의 고민은 자본주의적 고민이다. 오늘의 자본주의사회는 그것을 복지로 커버하지만 사회주의사회는 그것이 쉽지 않다. 역설적인 얘기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