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악취 없어지나…암→수나무로 바꿔심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은행 열매 악취로 불쾌감을 호소하는 시민이 늘어나면서 서울시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합 대책을 마련했다고 29일 밝혔다.

서울 가로수 30만 3144그루 가운데 은행나무는 37%(11만 3173그루)로 가장 많다. 이어 양버즘나무(플라타너스)가 7만 121그루, 느티나무(3만 2959그루), 왕벚나무(2만 8543그루) 순이다.

은행나무 중 악취를 유발하는 열매 맺는 암나무는 3만 1034그루다.

우선 시민 통행이 잦은 버스정류장, 지하철 출입구, 횡단보도 주변 암나무는 열매를 맺지 않는 수나무로 바꿔 심는다.

서울시는 11월까지 구마다 설치된 가로수 관리청에 기동반을 두고 민원에 즉각 대응할 예정이다.

기동반은 다음달 14일까지 관내 심긴 은행나무에서 열매가 떨어지기 전 열매를 미리 채취해 악취 발생을 원천 차단한다. 은행 열매 악취로 인한 민원이 접수되면 현장으로 출동해 이를 처리하는 역할도 한다.

이렇게 모은 은행 열매는 안전성 검사를 거친 후 경로당과 사회복지시설 등에 기증할 예정이다.

홍수민 기자 sum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