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시평] 나쁜 진보, 나쁜 보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우리는 정말 좋은 사람들이 정치하는 세상에서 살아보기는 틀린 것일까? 나쁜 사람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첫째, 자기들의 색깔을 밝히기 싫어한다. 둘째, 세가 불리하면 정면대결을 피하고 희생양을 만든다. 셋째, 그것으로 역부족이면 너 죽고, 나 죽더라도 끝까지 가본다.

*** 엉뚱하게 세대간 갈등 부추겨

바로 이 죽기 살기의 권력투쟁이 우리나라 현대 정치사를 왜곡시켜 왔을 뿐만 아니라 그 결과 우리는 지금 무슨 싸움을 하고 있는지조차 모르게 됐다. 순리대로라면 박정희 시대의 마지막은 민주화의 시작이어야 했다.

그러나 그는 민주화 투쟁의 예봉을 꺾기 위해 지역감정을 부추겼다. 그렇다면 김영삼 시대의 끝 김대중 시대의 시작은 진정 민주화의 축포를 높이 쏘아 올릴 수 있어야 했던 것 아닌가? 아쉽게도 또 한번의 역사 왜곡이 이 나라를 절망의 구렁으로 빠뜨린다.

군사독재 체제의 최대 희생자인 김대중 대통령은 지역주의를 보듬은 채 엉뚱하게 '젊은 피'로 수혈받기를 원한다.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지금 정도의 세대 간 갈등을 예상한 사람은 없었다. 386은 아직 '운동권'을 지칭하는 말이었을 뿐이다.

그리고 노무현 시대, 386은 '세대'가 되었고, 그 '운동권'은 정부의 핵심을 구성하게 됐다. 세대는 갈등을 넘어 감정으로까지 치달을 수 있는 개연성을 가진 말이 됐다.

정치권은 연일 세대교체를 전가의 보도처럼 휘두르며, 기성세대는 부패하거나 무능한 세대라고 몰아붙인다. "우리가 민주화 투쟁할 때 당신들은 어디에 있었느냐"고 호통까지 친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민주화는 노무현 시대에 와 실종된다.

믿어지지 않으면 소위 '땡전' 뉴스와 지금을 비교해 보라. 구차하게 뉴스시간 조금 빌려 시쳇말로 '이미지 메이킹'하는 것하고 몇 개의 프로그램을 통째로 코드에 맞추는 것하고 비교나 할 수 있나.

이쯤 되면 민주화 세력과 정면대결을 피하고 '지역'을 희생양으로 삼았던 박정희 시대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감옥에 가지는 않았더라도 평생 조국의 민주화를 위해 노심초사했던 기성세대, 자식들을 키우느라 분골쇄신한 죄밖에 없는 기성세대에게 돌팔매를 던질 이유가 어디에 있는가? 그들이 왜 희생양이 돼야 하나?

기성세대가 무능하고 부패했다면 정치권이 그 진원지일 텐데 자기들이나 잘할 일이지, 70대 대통령이 바로 밑의 후배는 키우지 않고 훌쩍 뛰어 넘어 30대 '젊은 피'를 감싸고 돌면 어떻게 하자는 것인가. 왜 정치판의 논리가 그대로 사회를 뒤집어 놓는가?

지역감정.세대감정, 이대로 가면 다음은 무슨 감정일까? 벌써 조짐이 보인다. 남성.여성 사이의 감정이다. 필요 이상 부풀려지고 정치적 야망을 가진 사람들의 단골 메뉴가 되면서 한 편에서는 말하기를 꺼려하는 사람이 생기기 시작했다. 선거철에 누가 불만 댕기면 일나는 것 아닌가 하는 걱정이 들 정도다.

도도하게 흐르는 세계사의 흐름이 있다. 권위주의는 민주화에 굴복하고 민주화는 민생정치를 꽃피워 인간답게 사는 사회를 건설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진보와 보수가 싸우는 것이다. 영남이 보수이고 호남이 진보일 수 없는 것처럼 늙은이가 보수이고 젊은이가 진보일 수 없다. 남자가 보수이고 여자가 진보일 수는 더더욱 없다.

*** 국가 위태로울 땐 싸움 멈춰야

우리에게 무슨 남다른 잘못이 있다고 국가 안보가 위협받고, 호주머니가 바닥을 드러내는 데도 지역이요, 세대요, 남자요, 여자요 하고 있는가? 간단히 말해 보수란 생산을 문제 삼는다.

물론 진보는 분배를 챙긴다. 하나 더 보태면 민족보다 국가이면 보수이고, 국가보다 민족이면 진보다. 지금 우리나라 실정이 그렇다는 것이다. 이렇게 싸우더라도 국가가 위태로워지면 싸움을 멈추는 게 좋은 진보요, 좋은 보수다.

이제 국민이 이들의 색깔을 잘 구별해야 한다. 괜히 그들이 펴놓은 싸움판에 뛰어들지 말고 누가 우리의 호주머니를 챙겨줄 수 있는지 찾아보자. 이대로 가다간 논 팔아, 집 팔아 애들 교육비가 아니라 생활비 대주게 생겼다.

趙重斌(국민대 정치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