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수원군 공항 이전 후보지 6곳에 "협의 절차 개시" 공문 보내, 화성시 반발

중앙일보

입력

 
국방부가 수원 공군 공항 이전이 가능한 경기도 지역의 예비후보지역 관할 6개 시ㆍ군에 사전협의 절차 개시를 통보했다. 6개 시ㆍ군은 경기도 화성ㆍ안산ㆍ평택ㆍ이천ㆍ여주시와 양평군이다.

국방부는 13일 전자문서를 통해 이들 6개 지역에 ‘군 공항 예비이전 후보지 선정 관련 회의 개최’를 알렸다. 문서에는 “10월 5일 국방부에서 관계 지자체 회의를 열어 예비후보지 선정 용역 결과를 소개하고 향후 협의 절차와 방법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렵할 계획”이라고 돼 있다.
그러면서 갈등과 국민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현재의 군 공항 이전 특별법의 비민주적 절차를 개선해 군 공항 이전을 ‘선(先)유치 공모 후(後)이전부지 결정’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대안도 제시했다.

하지만 화성시를 비롯한 6개 지자체의 반응은 냉담하다. 특히 유력 후보지로 꼽혀 왔던 화성시는 긴급 보도자료를 내고 '결사반대' 입장을 밝혔다.

화성시는 자료에서 “화성시민은 수원 군 공항의 피해를 받는 동부권 주민의 고통을 공감하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그러나 한쪽의 아픔을 치유하기 위해 군 공항의 중첩 피해를 받아왔던 서부권으로 군 공항을 이전한다는 것은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국가 안보가 우선이라는 애국심으로 지금 이 순간까지도 상처를 달래며 살아온 화성시민에게 더 큰 희생을 강요하고 갈등과 분열을 야기하는 수원 군 공항의 화성시 이전을 결사 반대한다”고 덧붙였다. 또 “화성시민들은 매향리 미군 폭격장으로 지난 55년간 수많은 인명 피해를 남겼을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도 그 아픔이 지속되고 있다”며 “시는 군 공항 저지 비상대책본부를 구성해 모든 행정적·법적 대응 수단을 강구할 것”이라고 했다.

안산과 평택 등 나머지 5곳개 지자체들도 반대입장을 밝히면서 추석 연휴가 끝나는 대로 본격 대응하기로 했다.

수원 군 공항은 1954년 당시 도심 외곽 지역인 수원시 권선구 장지동 일대 6.3㎢에 들어섰지만 도심 팽창에 따라 주민 생활권과 재산권 침해를 주장하는 수원 시민들로부터 이전 요구를 받아왔다. 수원시는 군 공항이 이전하면 기존 부지에 첨단과학 연구단지와 주거단지, 문화공원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앞서 수원시는 2014년 3월 국방부에 수원 군 공항 이전 건의서를 제출했고, 국방부는 지난해 6월 4일 이전을 최종 승인했다. 하지만 최종 후보지 선정이 미뤄지면서 1년이 넘도록 군 공항 이전 사업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화성=임명수 기자 lim.myou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