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특 명단 주중에 제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회개헌특위가 신민당측의 조기구성 당론에 따라 7월초에 정식 출범할 것으로 보인다.
신민당은 민정당의 개헌안 제출 및 구속자 석방 약속 이행촉구는 계속하되 빠르면 금주 중 개헌특위 위원명단을 제출, 조기에 활동을 개시하도록 30일 확대간부회의에서 결정했다.
이날 회의는 『구속자 석방을 위한 대정부 압력은 계속 가해야 하나 이미 정당대표간에 최선의 노력을 하기로 한 문제를 일방적으로 믿지 않고 증거를 요구하는 것은 정치의 큰 흐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구속자가 신민당이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석방되지 않는다고 헌특을 안 할 것이면 몰라도 그렇지 않을 바에야 제헌절 특사 등을 기다리지 않고 개헌특위를 조속히 가동시키는 것이 국민여망이나 헌특 설치의 취지에 합당한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소식통은 또 『민정당이 개헌안도 제출하지 않으면서 신민당의 직선제 주장을 비난하는 행위가 옳으냐, 그르냐는 이미 국민이 판단을 내리고 있으므로 우리가 거기에 얽매여 말싸움 차원의 논의에 머무를 필요가 없다』고 전제, 『민정당 안이 안나오면 개헌 주도세력인 신민당 안을 놓고 여야가 심의하는 것도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신민당이 이처럼 특위가동과 구속자 석방을 병행 추진키로 방침을 정한 것은 최근 정부·여당이 개헌협상을 내년 3, 4월로 끌고 갈 것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고, 또 야당이 직선제를 포기하지 않으면 현행 헌법을 고수한다는 말을 정부·여당의 고위관계자들이 하고있는데 자극 받은 것으로 보인다.
김영삼측은 『여야 합의로 특위를 구성하기로 해 놓고 명단제출을 가지고 흥정하는 인상을 주는 것은 국민이 보기에도 좋지 않다』고 밝히고 『1일 김영삼씨가 주한 외신기자회견에서 정식으로 소신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이민우 총재도 30일 『내가 제헌절특사와 민정당안 제출을 보고 특위명단을 제출하겠다고 한 것은 우리측의 희망사항을 피력한 것이며 총무접촉을 통해 가급적 특위발족을 앞당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세기 민정당 총무와 지난 주말 집중적인 막후접촉을 벌인 김동영 신민당 총무는 특위를 일단 여22, 야21명 선으로 하고 야21명은 신민당 17, 국민당 4명으로 하기로 잠정 합의했다고 밝히고 신보수회 등 무소속은 여야가 각각 1명씩 추천케 하자는 것이 신민당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신민당의 이같은 방침에 대해 이세기 민정당 총무는 가급적 빨리 개헌특위를 구성, 헌법논의에 들어가도록 하겠다고 밝히고 곧 총무회담을 갖겠다고 말했다.
한편 노태우 대표위원은 30일 확대 당직자회의에서 국회개헌특위를 조속히 구성하기 위해 여야절충을 더 활발히 벌이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여 대표는 국회헌특에 참여할 당헌법 특위위원의 명단을 이번 주내에 결정하고 야당측에도 조속히 명단을 내도록 촉구하라고 말하고 헌특구성비에 관한 절충을 빨리 매듭짓도록 하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