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부품 수입 가 20∼40% 올라|전자·기계류 채산악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엔화강세이후 부품의 대일 수입가격은 크게 올랐으나 완제품의 수출가격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어 부품의 대일 의존도가 높은 기계류와 전기천자업체의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다.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9월말부터 엔화가 강세로 돌아선 이후 기계 및 전기-전자부품의 대일 수입가격은 최고 40%까지 올랐으나 일본에서 들여온 부품으로 만든 전기천자제품이나 기계류의 수출가격은 소폭 상승에 그치거나 종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올 들어 수출이 크게 늘고 있는 VTR의 경우 현재 국산화 율이 70%정도로 나머지 부품을 전량 일본에 의존하고 있는 형편인데 핵심부품인 헤드드럼이나 헤드모터의 수입가격이 20%씩 올랐으나 수출가격은 신 모델을 중심으로 2∼3%인상에 그치고 있다.
컬러TV도 사정은 마찬가지로 바이어의 요구에 따라 일본에서 사다 쓰는 IC(집적회로)류의 수입가격도 20%이상 올랐지만 수출가격은 3%정도 인상에 그치고 있다.
흑백 TV용 튜너의 대일 수입가격은 40%까지 올랐지만 국내업체간의 과당경쟁으로 수출가격은 오히려 떨어지는 기현상을 보이고 있고 IC제조에 필요한 초소형 전자회로부품의 경우도 대일 수입가격은 11·5%가 올랐으나 IC류의 수출가격은 오히려 떨어지고 있다. 「또한 각종 기계류제작에 필요한 드릴링 반이나 롤러베어링도 40%씩 대일 수입가격이 올랐으나 완제품 수출가격에 전혀 반영이 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