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 로봇수술 2000례 돌파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은 2016년 8월 기준 다빈치 로봇수술 2000례를 돌파했다고 30일 밝혔다. 2009년 3월 2세대 다빈치 로봇수술 장비로 비뇨기과 전립선암 수술을 시작한 이후 6년 5개월 만이다.

1000례는 2013년 12월에 달성한 바 있다. 2000번째 수술은 지난 11일 김미란 교수(산부인과, 로봇수술센터장)가 집도한 자궁근종 수술이었다.

그간 로봇수술은 비뇨기과, 산부인과, 외과 등 다양한 진료과에서 시도됐다. 자궁근종 수술이 557건(27.9%)으로 가장 많았고, 전립선암 513건(25.7%), 갑상선암 145건(7.3%), 두경부암 110건(5.5%) 등이 뒤를 이었다.

자궁근종의 경우 로봇수술 건수로는 국내 최다로, 김미란 교수는 이 가운데 428건을 시행했다.

로봇수술을 원하는 환자가 꾸준히 늘면서 병원은 지난 3월 최신 사양인 4세대 모델을 도입했다. 기존엔 접근하기 어려웠던 림프절제술은 물론 다양한 진료과에서 고난도 암을 최소 침습수술로 다룰 수 있게 됐다. 보다 넓은 영역의 수술이 가능해져 대장항문외과 질환에서도 활용이 늘고 있다.

김미란 교수는 “로봇수술은 자궁을 보존하면서 수술할 수 있어 임신을 원하는 여성에게 큰 장점이다. 자궁근종 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신 성공률이 79%에 달할 정도로 높다”고 말했다.

비뇨기과 이지열 교수는 “전립선 주변엔 배뇨와 성기능 관련 신경이 많다”며 “10배 확대된 시야와 정밀한 로봇수술은 전립선안 수술에 매우 적합하다. 수술 결과를 고려했을 때 앞으로 더 많은 환자에게 적용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대장항문외과 김준기 교수(암병원장)는 “4세대 시스템을 고난도 술기가 필요한 암 수술에 적용하면 기존 개복이나 복강경 수술에 비해 우세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기기사]

·갑자기 추워진 날씨에 코 훌쩍인다면? '혈관운동성 비염' 가능성 염두해야 [2016/09/01] 
·화이자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 ‘입랜스’ 승인 [2016/09/01] 
·GKS, 포춘지 선정 '세상을 변화시키는 기업' 선정 [2016/09/01] 
·보라매병원, 외과병동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개시 [2016/09/01] 
·신임 건국대병원장에 대장암 명의 황대용 교수 [2016/09/01] 

김진구 기자 kim.jingu@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