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공-법사위도 유산가능성|인천사태 증인 싸고 내무위 끝내 공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민통련 의장인 문익환 목사를 포함한 증인채택 범위문제로 국회내무위가 공전되고 이미 여야간에 합의한 국회 문공·법사위소집도 유산될 가능성이 농후해진데다 김영삼씨가 노태우 민정당 대표와의 회담도 거부하는 등 정국이 경색 조짐을 보이고 있다.

<관계기사 3면>
신민당은 23일 확대간부회의를 열어 민통련 의장인 문익환 목사의 인천사태 진상 조사위 증언이 보장되지 않으면 국회내무위에 불응할 뿐 아니라 이미 여야총무간에 소집키로 합의한 문공·법사위도 연계해 거부키로 결정했다.
신민당은 정부당국이 문 목사를 인천사태의 주모자로 몰고있는 마당에 인천사태 진상 조사위가 핵심인물의 증언을 듣지 않고 사태를 규명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같은 신민당 측 방침에 따라 내무위는 23일 공전한데이어 23일에도 예정시간에 열리지 못했다.
민정당 측은 23일 간사회의에서 신민당 측이 요구하는 증인 중 문익환 목사와 같은 구속자·수사 중인자 등 명백히 법률에 저촉되는 사람이외에는 민통련관계자를 포함해 누구라도 출석시킬 수 있다는 신축성을 보였으나 신민당 측이 문의장의 증언 보장 없이는 회의에 응할 수 없다고 버텨 아무런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세기 민정당총무는 신민당 측이 불응할 경우 23일에는 국민당·무소속의원과 함께 회의를 강행하겠다고 밝혔으나 강행할 경우 당장 신민당의원들의 회의방해 사태가 예상될 뿐 아니라 앞으로의 정국 전개, 특히 6월의 임시국회소집 등에 영향을 크게 미칠지도 모른다는 신중론이 제기되고 있어 민정당 측이 꼭 강행할지의 여부는 불투명하다.
여야는 22일 네 차례의 3당 간사회의와 한차례의 3당 총무회담을 각각 연데 이어 23일 상오에도 3당 간사회의를 열어 증인채택문제에 대한 절충을 벌였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해 이날하오 한차례의 3당 총무회담이 또 열릴 것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