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대체요법, 사용하고픈 환자 vs 효과 없다는 의사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암 보완대체요법의 기대 효과를 두고 의사와 환자의 인식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김상혁·신동욱 교수와 충북대 예방의학과 박종혁 교수팀은 암환자 700여명과 암 전문의 134명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 사용여부와 기대효과를 조사, 25일 밝혔다.

보완대체요법이란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의학적 치료 외에 질병치료를 위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모든 치료법을 말한다.

요가와 같은 운동요법, 채식과 같은 각종 식이요법, 건강보조식품이나 한약, 침, 뜸, 부항, 수지침, 벌침 등이 해당한다.

연구진에 따르면 암환자의 28%가 보완대체요법을 사용한 경험이 있으며, 이들 중 70% 이상이 체력보강, 면역력 향상, 심리적 안정 효과를 기대한다고 답했다.

특히 전체 암환자의 절반은 생존율을 높이는 건 물론 완치도 가능할 거라고 기대했다. 다만, 보완대체요법 사용 후 기대했던 효과를 경험했다고 응답한 인원은 극소수에 불과했다.

반면 암전문의는 통증 경감이나 체력보강, 면역력 향상 및 심리적 안정과 같은 효과는 어느 정도 기대하지만, 암 완치(3.7%)나 생존율 향상(6.7%)에 대한 기대는 저조했다.

김상혁 교수는 “암환자는 뭔가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로 보완대체요법을 사용하지만, 정작 암 치료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전문의와는 관련된 상담을 하지 않는다”며 “보완대체요법 사용에 대한 근거 중심의 가이드 및 의사, 환자 간 적극적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박종혁 교수는 “인터넷이나 언론을 통해 쉽게 암치료를 위한 여러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암환자 및 보호자들의 희망을 악용하는 허위·과장 광고가 대부분”이라며 “보완대체요법의 부적절한 사용을 막고 근거에 기반한 효과적 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언론과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대체의학회지(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최신호에 게재됐다.

[인기기사]

·한국BMS, 스프라이셀 FDA승인 10주년 기념행사 개최 [2016/08/25] 
·자궁·질이 골반 밖으로? 노년기 여성의 말 못할 질환 [2016/08/26] 
·GSK 남성형 탈모 치료제 ‘아보다트’ 일본 상륙 [2016/08/25] 
·MSD ‘키트루다’ 두경부암 FDA 추가 승인 [2016/08/25] 
·암 대체요법, 사용하고픈 환자 vs 효과 없다는 의사 [2016/08/25] 

김진구 기자 kim.jingu@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