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국대처 민정서 주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여당은 앞으로 민정당 중심체제로 시국에 대처해나가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져 민정당의 정국주도 능력이 대폭 확대, 강화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여당은 29일하오 민정당사에서 당정정책조정회의를 열어 시국 대책을 논의하는데, 이 자리에서 정국운영에 있어 당의 주도적 입장과 책임이 확인될 것으로 알려졌다.
또 30일 청와대 3당대표 회동에서 제시될 여권의 시국대처방향도 민정당 주도아래 실현시켜 나갈 방침이다.
노태우 대표위원은 이미 28일 당직자회의에서 청와대 회동의 사전·사후대책을 수립, 대처해 나가도록 지시한바 있다.
정부·여당의 이같은 방침은 임기 말까지의 시국을 행정적 차원이 아닌 정치적 차원에서 대처해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나온 것으로 알러졌으며 이에 따라 정책·인사 등에 있어 당의 참여가 대폭 확대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또 대야교섭과 협상에 있어서도 당이 재량권을 갖고 주도해나갈 것으로 알려졌다.
노대표는 29일『국회에서 야당이 원하는 모든 것에 대해 논의할 용의가 있다』 고 말하고 『그 결과 야당의 주장이 옳다면 이를 수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노대표는 이날 아침 강남지구당중앙위원 간담회에서 『장내에서 야당이 원하는 제도가 직선제라면 이를 국민들에게 설득시켜야 하고 우리도 현행헌법을 지키지만 더 좋은 방향에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학자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제한 없이 수렴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노대표는 『현행 대통령선거법이 야당에 불리하다고 판단되면 이의 개선을 놓고 야당과 협상할 용의가 있다』고 거듭 밝히고 『이것도 장내에서 논의돼야할 것』 이라고 강조했다.
민정당은 개헌문제에 있어서 88년까지 호헌이라는 기본입장은 일단 고수하되 국회에 설치될 헌법특위를 통해 개헌논의의 내용과 결과에 대해 개방적인 자세를 취함으로써 헌법논의를 장내로 수렴함 방안을 적극 강구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하여 민정당은 곧 야당측과 협의 5월중에 운영위등 관련 상임위와 임시국회 소집을 추진하고 헌법특위에 야당이 참여할 수 있도록하기 위해 명칭등에 관해서는 상당히 신축성을 보일 것으로 알려졌다.
민정당은 만약 야당측이 이 같은 신축적인 대응에도 불구하고 호응하지 않을 경우에는 민지당 만이라도 헌특을 구성하고 공청회등을 열어 직접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방법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러졌다.
민정당은 또 당의 정국 운영능력을 확대하는 방안과 관련해 당의 정부참여 확대를 점진적으로 실현해 나간다는 전제 위에서 당정개편도 단계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29일 하오 민정당사에서 노태우 대표위원등 당직자들과 노신영 국무총리를 비롯한 관계 장관들이 참석한 당정정책조정회의에서는 최근의 학원사태가 집중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회의에서는 내무·문교등 관계장관으로부터 최근 성대·서울대의 입소거부데모 등 학원사태 현상과 대책에 대한 보고를 들을 예정이다.
한 당직자는『최근 일어나고 있는 입소거부 등 학원소요사태는 구호와 행동 양식이 지극히 우려된다』 고 지적하고『이 같은 과격학생단체에 대해서는 이를 다수학생과 분리해서 처리할 수 있는 강경한 대책이 강구되지 않으면 안될 것』 이라고 말했다.
민정당은 학원문제에 대해서는 자율성 보장을 기본방침으로 삼고 다만 좌경 불순 움직임에 대해서는 강력한 대책을 세워나가도록 정부측에 요구할 예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