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열 진정에 다각 대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조심 뒷전 한탕 만연>
주식가격이 예상외로 큰 폭으로 오르자 전에는 조심스럽게 투자하던 일반투자자들도「한탕주의」로 바뀌어 손이 커졌다.
작년 가을까지만 해도 수백 만원 대에 머물던 투자 규모가 여기 저기서 돈을 끌어 모아 작게는 수천 만원 대에서 크게는 수억 원 대로 까지 커진 것이다.
이처럼 증시에 새로운「큰손」들이 많이 등장하자 이들의 상담과 관리에 많은 시간과 정력을 빼앗기게 된 증권회사 직원들은 수십 만원 내지 수백 만원으로 투자를 해보려는 소액 초심자들을 푸대접(?)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또 일부 증권회사에서는 여성투자자는 아예 사절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해 투자자들은 대 고객 서비스를 강화하기 의해서는 증권회사의 인력을 크게 늘려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실제로 대부분 3월말 결산법인들인 증권회사들은 증시 활 황에 힘입어 작년, 하반기 이후 올 들어 1·4분기까지 엄청난 수익을 올렸는데 특히 일부 대형회사의 수익규모는 적어도 1백억 원 이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현재 증권회사의 직원 수는 증시침체기 때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이 이들이 업무량이 많아져 고객을 푸대접하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

<종합지수 2백10 돌파>
한편 최근 시가 총액 방식인 종합지수는 지난주에 이미 2백10선을 돌파했는데 이에 따라 앞으로의 증시에 대한 증시전문가들의 전망도 크게 엇갈리고 있다.
한쪽에서는 그 동안 주가가 너무 수직적으로 곧장 오르기 만해 앞으로는 완만한 상승세를 유지하든지 아니면 주가 급상승에 따른 후유증으로 상당기간 주가가 급락할 우려도 있다고 보는 반면, 현재 7·4배인 국내주가 수익비율(PER)이 아직도 외국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어서 이대로 간다면 연말께는 2백60∼2백70까지 갈 수 있으리라는 견해도 있다.

<22개 법인 공개 유도>
올 들어 석 달 반 사이에 평균 주가가 30% 오르는 등 주식시장이 이상 과열의 조짐을 보이자 재무부를 비롯한 증권 관계당국은 너무 빠른 속도로 증권시장이 달아오르고 있는 현상을 우려, 안정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원유가격의 하락, 국제금리의 인하, 해외 수출시장의 회복 등 국내외 경제여건으로 보아 주가의 상승은 당연한 추세로 받아들여지긴 하지만 그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데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다.
증권 관계당국은 국내외 경제 여건의 호전 외에 우리나라의 경우는 주식시장의 개방, 즉 해외 전환사채(CB)의 발행, 코리아펀드(대한증권 투자기금)의 확대 등으로 다른 나라에 비해 호재가 더 많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긴 하다.
그러나 석 달 반 사이에 평균30% 씩 이나 오른다는 것은 자칫 증권 투기바람의 악순환을 몰고 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그래서 증권당국은 지난 3월초이래 증시 안정대책을 계속 내놓고 있으며 장세추이를 보아 가며 좀 더 유효한, 대책을 마련한다는 입장이다.
정부가 마련한 대책은 주식거래 투기 촉진 요인을 규제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주식물량을 적극 확대 공급하겠다는 것.
전자에 속하는 대책으로 정부는 증권회사가 보유할 수 있는 주식물량의 총 한도를 자기자본의 1백%이내로 묶었다. 또 증권회사 임직원들의 주식 매매 거래도 철저히 단속하고 있다.
또 정부는 증권금융이 증권회사들에 공여하고 있는 7백92억 원을 오는 6월말까지 전액 회수하도록 하는 한편 신규 공여를 중지시켰다.
물량 공급 확대 대책으로는 올해 중 유상증자 4천억 원, 기업공개 5백억 원 등 모두 4천5백억 원 어치를 신규 공급하기로 하고 투자신탁·증권회사 등 기관투자가들의 시장개입 역할을 늘리는 것이다.
정부는 우선 65개 상장 법인들에 대해 유상증자를 강행 권고하기로 하고 은행으로부터 대출 받을 때 유상증자 계획서를 제출토록 했다.
또 33개 계열 기업 군에 속하는 법인 22개에 대해선 공개 단행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기관투자가들은 정부의 방침에 맞추어 지난 3월 중순 이후 약 1천억 원 어치의 보유상품 (주식)을 시장에 내다 팔았다.
정부는 지금까지 취한 조치가 주가안정에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면 좀더 직접적인 규제방법을 동원할 가능성이 있다. <이춘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