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서 철거민에 준땅이 사유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이 기사는 지난 71년 서울시의 무분별한 철거정책으로 피해를 본 봉천7동산35의2번지 일대 2백26가구 1천여 주민의 진정에 따라 취재 보도하는 것이다.
관악산기슭 낙성대뒤 봉천7동산35의2번지일대 속칭대학촌에 정착한 달동네 2백26가구 1천여 주민들은 서울시의 무분별한 철거시책으로 또다시 이주해야하는 불안에 떨고 있다. 이동네는 지난71년3월 서울시가 남부순환도로를 개설하면서 도로로 편입된 땅에 살던 봉천동일대 철거민 이주단지로 지정, 시멘트등 건축자재까지 대줘가며 집을짓고 살게했던 곳.
그러나 이주단지 1만6천5백평방m중 2천8백81평방m가 14년이 지난 84년12월 사유지임이 밝혀져 사유지에 살고 있는 55가구 3백여주민들은 또다시 이주해야 하는 어려움에 처해있다.
사유지의 땅주인 김종흠씨(흑석동170의1) 는 이때까지도 자기땅이 침식당한 줄 모르고 있였으나 이지역이 서울대학교 확장계획선안에 들어가자 측량했다가 이같은 사실을 발견, 서울시를 상대로 사유지무단점유로 인한 부당이득금 반환청구소송을 제기, 작년12월 서울시로부터 토지사용료조로 5천4백28만원을 받아냈다.
이렇게 되자 서울시만 믿고 철거이주단지에서 안심하고 살고 있던 이곳 주민들은 또다시 이주해야할 입장이 됐다.
주민들은 이에따라 ▲철거민이주단지 지역을 불량주택재개발지역으로 지정해 합동개발방식으로 아파트를 짓게 해주든지 ▲시영아파트의 임대입주권을 주든지 ▲시영아파트를 분양하되 분양금을 4∼5회 분할해 납부할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또 주민들은 이같은 대책이 불가능할 경우 이 일대의 시유지를 불하해 주민들이 안심하고 살수 있도록 항구적인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주민 김명암씨(58)는 『무분별한 행정으로 주민들만 골탕먹게 됐다』며 『서울시가 책임지고 대책을 마련해 쥐야한다』고 말했다.
◇서울시의 말=당초 철거민이주 당시 서울시가 시유지안줄 알고 이곳에 철거민을 이주시킨데서 문제가 생겼다. 현재 문제가 있다고 판단돼 다각적으로 해결대책을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당장철거계획은 없으므로 시간을 두고 대책을 세우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