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년 개헌」 못 박은바 없다|「논의」가 와전된 것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민정당은 개헌 문제에 대한 당내의 해석을 정리, 개헌은 89년에 가서 논의하며 국민 의사에 따라 개헌할 수 있다는 방향으로 결정짓고 이 같은 결론을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홍보해나갈 방침이다.
민정당 측이 이 같은 방침을 정한 것은 2·24 청와대 3당 대표 회담 후 민정당이 89년에 개헌을 단행하는 것으로 외부에 잘못 인식되어 있다고 판단한데 따른 것이다.
민정당은 이 같은 개헌 문제에 대한 당의 결론을 임시 국회 대표 연설 및 대 정부 질문 과정에서 보다 분명하게 밝힐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정당은 89년에 개헌 논의를 한다는 것은 「89년 개헌 방침」으로 알려진 2·24청와대 회담에서 후퇴한 것이라는 지적을 부인하고 민정당이 89년을 개헌 시기로 못박은 바 없으며 88올림픽 등 대사가 끝난 후 개헌 논의를 하자는 일관된 방침에서 벗어난 일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19일 2·24 회담에서 개헌 문제에 대해 밝혀진 여권의 견해는 「89년에 가서 논의해 국민들의 의사를 충분히 반영하자」는 취지였다고 밝혔다.
민정당은 지난 8일 중앙위 전체 회의에서 개헌 문제에 대한 당론을 결의문으로 채택한바 있으나 이 결의문에서도 개헌 시기를 89년으로 명시한 바 없으며 다만 2·24제의를 지지한다고만 표현했었다.
민정당이 개헌 문제에 대한 당론을 이 같이 정리함에 따라 민정당의 정치 일정은 1·16국정 연설과 1·22 노태우 대표 위원 기자 회견에서 밝힌 것과 같이 ▲88년까지 현행 헌법 수호 ▲89년 개헌 논의로 재확인됐다.
또 개헌 내용의 검토도 직·간선제를 모두 포함하는 보다 포괄적인 것이 될 것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