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수수설 음모론' 거론 의원들 "거봐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굿모닝시티로부터 돈을 받았다는 의원들의 명단이 정치적 의도에서 언론에 흘려졌다는 음모론이 확산되면서 여권에 다양한 반응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돈을 받았다고 실명으로 거론됐던 민주당 의원들은 자기들이 짐작했던 대로라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면서도 동아일보의 보도에 대한 책임 추궁은 별개의 문제라는 점을 명확히 했다.

청와대는 386 비서관이 동아일보 기자와의 통화에서 실명을 거론했던 것은 사실이라고 인정하면서도 음모론의 확산에 곤혹스러워 했다. 이 와중에 문제의 386 비서관은 21일 휴가를 간 것으로 확인됐다.

이해찬(李海瓚)의원은 "청와대 386 비서관이 첫번째 출처인 것 같지는 않고 따로 누군가가 개입돼 있는 것 같다"고 했다. 신계륜(申溪輪)의원도 "대충 감을 잡고 추적해왔었다"며 "정확한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익명을 요구한 중진의원은 "386 측근들의 그동안 움직임을 면밀히 추적해왔다"며 몇가지 구체적 사례들을 제시하고 "이는 당과 청와대의 세대교체를 노린 측면이 강하다"고 말했다.

정대철(鄭大哲)대표 측근도 음모설과 관련, "통합신당을 하자는 신주류 중진들을 제거해 개혁신당을 하자는 것 아니냐"고 강조하며 "鄭대표 수사도 이런 연장선상에서 나온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청와대 문재인(文在寅)민정수석은 "문제의 비서관이 동아일보 기자와 오후 11시30분쯤 통화한 것은 확인됐다"며 "당시 그 비서관은 루머 차원의 정보를 설로 들은 적이 있다고만 말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분명히 말하지만 무슨 의도가 있었든 없었든 동아일보에 대한 법적 추궁은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으로 상황이 어떻게 전개되든 파문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더구나 최초 발설자 논란이 더해지면서 '음모론'에 이어 '역음모론'이 꼬리를 무는 양상이다. 청와대 내에선 '발설 386그룹'과 지켜보던 386 간의 책임 공방이 전개되고 있다는 설도 나온다.

이수호.강민석.신용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