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7일 새벽「뒤발리에」대통령이 망명길에 오르면서 아이티는 28년 독재의 종막을 고했다.
「프랑스와·뒤발리에」와 「장·클로드·뒤발리에」부자 2대 독재는 그간 아이티의 악몽이었다.
57년 정권을 잡은 아버지「뒤발리에」는 64년 종신대통령제를 채택했었다.
그후 당뇨병으로 사망하기까지 아버지 「뒤발리에」(파파 독) 는 아들에게 정권을 물리기 위해 기막힌 제도를 만들어냈다.
우선 71년1월 아이티 독립기념일에 「파파 독」 은 젊은 지도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미래는 젊은이의 것이며 때가 오면 젊은이에게 정권을 넘겨줄 생각』 이라는 것이다.
그때 그는 「시저」 와 「아우구스투스」도 불과 19세에 로마제국의 통치권을 계승했다는 걸 인용했다.
그땐 아직 아들에게 정권을 인계한다는 언질이 없었다. 그러나 이틀 뒤 아이티군부는 대통령에게 공개서한을 보냈다.
『우리는 생명을 바쳐 「클로드」군을 대통령 후계자로 받들 것』 을 맹세한 것이다.
바로 그날 「파파 독」은 긴급의회를 소집, 청소년의 공직담당 연령제한을 규정한 당시 헌법은 『과학기술시대인 20세기의 사상과 관념에 배치된다』고 결의하도록 했다.
이어 한 주일 후엔 또 한차례 긴급회의를 소집, 대통령 피선거권을 40세에서 20세로 낮췄다. 동시에 아들의 나이도 19세에서 21세로 고쳤다. 그 뒤에 한 것은 의회 앞 관제데모.
「클로드」를 다음 대통령에 지명할 것을 「민의」로 요구하는 절차다.
아버지 「뒤발리에」는 그 「민의에 못 이겨」 아들을 후계자로 제안했고, 그것은 국민투표로 확정되었다. 그 국민투표에서 1표의 반대표가 나오지 않았던 것도 기록적이다.
여자와 자동차 드라이브로 세월을 보내던 「클로드」가 대통령이 된 것은 그 2주 후. 「베이비 독」의 탄생이었다.
그때 이후 아이티는 명목상만 민주공화국이었을 뿐 극악한 독재국이었다.
야당은 불법화되고 비밀경찰의 국민 탄압은 점점 고조됐다. 관료의 부패와 국민의 빈곤은 극에 달했다. 1인당국민 소득은3백80달러로 중남미에서도 가장 못사는 나라가 됐다.
지난해 11월의 민중 소요는 더 이상 견딜 수 없었던 국민의 폭발이었다.
아이티의 보호자격인 미국마저 경제원조 계획을 보류할 수밖에 없었다.
「뒤발리에」가 부인과 함께 드라이브 망명길에 오른 것은 학정의 보답으로는 오히려 행운이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