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어린이집·부모 손잡아야 정착

중앙일보

입력

7월 1일부터 맞춤형 보육이 전면 시행됐다. 아이가 부모와 충분한 시간을 함께하고 부모는 필요에 따라 어린이집을 이용하라는 취지다. 제도 시행과 관련해 곳곳에서 걱정과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어린이집 입장에서는 기존의 보육지원 체계와 달라져 불안하고, 부모들은 보육서비스 혜택이 줄어들거나 차별을 받지 않을까 걱정이다.
  정부는 2012년 처음으로 무상보육을 도입했을 땐 계층에 상관없이 일괄적으로 12시간 보육서비스를 제공했다. 아이를 맡기는 ‘자격’에 대한 사전 검증이 없었다. 이번부터는 보육서비스가 얼마나 필요한지 검증하는 절차가 추가됐다. 부모 입장에선 종전에 비해 서비스 이용에 대한 진입장벽이 생겼고, 어린이집은 종일반과 맞춤반으로 나눠 운영해야 해서 신경 쓸 것이 늘어났다.
  일각에서는 ‘누구를 위한 맞춤형 보육인가?’ 하는 의문을 제기한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이 제도가 우리의 미래 동력인 아이들과 각 가정이 안심할 수 있는 보육을 위해 출발했다는 사실이다. 보육서비스의 최종 수혜자는 아이들이고, 아이들이 행복한 환경을 만드는 게 보육정책의 목표라는 것을 잊지 말자.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일과 가정을 함께 가져갈 수 있는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해 보고 지금의 저출산 현상을 좀 더 개선하겠다는 의지도 담겨 있다.
  이제 막 시작된 맞춤형 보육은 많은 사랑과 돌봄을 받아야 건강하게 자랄 수 있다. 각각의 관점을 모아 이 제도가 잘 자리잡기 위해 필요한 게 무엇인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어린이집과 가정은 맞춤형 보육이 추구하는 약속을 지키고, 정부는 이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생긴 부족한 점을 개선하면서 함께 손잡아야 한다. 아이의 맑은 미소를 지키기 위해 정부와 어린이집, 부모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마미정(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