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남녀 레저·휴식시간이 늘었다〃|「국민생활시간」조사 KBS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여가활동시간이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여성들도 가사노동에서 해방되어가고 있다. TV시청률과 시간은 줄어들고 대신 활자매체인 신문과 잡지를 선택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지난 5욀 KBS가 서울대신문연구소에 의뢰하여 81, 83년에 이어 3번째로 전국의 3전5백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생활시간조사」 결과에서 밝혀졌다.

<보통사람>
가장 전형적인 한국의 성인남자는 평일에 7시간34분을 자고 하루세끼 식사하는데 1시간38분, 세수·옷갈아입기등의 신변잡일에 1시간9분, 출·퇴근에는 1시간37분를 소비한다. 순수하게 일하는 시간은 5시간35분이고 여가활동으로는 6시간19분을보낸다. 집에 있는 시간은 13시간24분.
반면 성인여자는 평일에 남자보다 5분 적은 7시간29분을 자고 식사시간은 1시간41분, 세수·화장·목욕등 신변잡일에는 l시간8분을 보내고 있다. 가사노동에 보내는 시간은 4시간3분으로 남자 (35분) 의 7배에 이른다.
하루중 집에 있는 시간도 남자보다 3시간3분이 많은 16시간39분이다.
전체적으로 83년에 비해 성인남자는 레저·가사·신무-잡지 구독등의 시간량이 증가했고 잠·TV시청시간등이 줄었다. 여자의 경우는 휴식·신문잡지 구독시간이 늘고 가사·TV시청시간등이 줄어들었다.

<일>
10세이상 국민전체로볼때 평일에는 3시간3분, 토요일 2시간40분, 일요일 1시간37분동안 일을 하고 있다.
성인남자가 생계를 위해 일하는 시간은 평일 5시간35분, 토요일 4시간54분, 일요일 3시간이다. 반면 성인여자는 평일 3시간9분, 토요일 2시간44분, 일요일 1시간36분이다.
83년에 비해 남자는 크게 늘었고 (평일7분, 토요일 10분, 일요일 6분) , 여자는 줄어들었다 (평일 19분, 토요일12분, 일요일 12분) .

<가사>
남자는 늘어난 반면 여자는 줄어들어 「집안일을 여자만 해야한다」 는 의식이 점점 사라져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가정주부의 집안일 시간은 평일6시간15분, 토요일 6시간8분, 일요일 5시간7분으로 평일과 일요일 사이에 1시간8분의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전체적인 시간도 83년에 비해 평균 22분이 줄었다.
가사내용별로는 식사준비가2시간41분으로 제일많고 재봉·편물이 단7분으로 제일적다.
한편 성인남자가 가사를 돌보는 시간은 평일 1시간21분, 토요일 1시간25분, 일요일 1시간40분으로 평균 7분쯤 늘어났다. 이는 핵가족제도가 확산되어가는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다.
주부들의 평일가사시간 (6시간15분) 은 일본의 경우(7시간46분) 보다 1시간31분이적다. 반면 이동시간은 1시간19분으로 일본 (12분) 의 5배. 자녀를 돌보는 시간은 일본 (1시간16분) 의 8분의1인 10분에 그치고있다.
이에 대해 이번 조사팀의위원장인 추광영교수(서울대·신문방송학) 는 『우리 나라의가정주부들이 각종 편의기구가 늘어 가사시간이 줄어들자 시간을 허비하는 경향이 많은 것같다』고 지적했다.

<신문·잡지읽기>
신문접촉률은 평일27·4l%, 토요일 24·53%, 일요일 19·22%로 83년에 비해 평일4·05%, 토요일2·87%, 일요일3·45%가 늘었다.
연령별로는 평일에는 70세이상 (1시간) 이 가장 많이 보고 토요일에는 40,60대(41분) , 일요일에는 60대(40분)가 많이 본다. 직업별로는 요일에 관계없이 경영관리직(70·4%)·기능직·사무직·농림어업직의 순이다.


시청률이 평일88·05%, 토요일 89·67%, 일요일 93·17%로 83년에 비해 평균2·3%가 줄었다.
시청시간은 평일 2시간3분, 토요일 2시간40분, 일요일 3시간24분으로 2년동안에 평균 20분쯤 짧아졌다.

<여가활동>
레저시간이 성인남자는 평균 15분이, 여자는 5·5분이 늘어났다.
성인남자의 경우 교제시간은 83년보다 9분이 줄어든56분이지만 개인적인 여가생활인 휴양의 경우 21분이 늘어 1시간17분, 레저활동도 18분이 늘어 51분으로 생활양상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성인여자의 경우에는 교제·레저활동은 5분이 줄었으나 휴양시간은 18분이 늘어난 1시간 13분으로 나타났다.
추광영교수는 이번 조사결과의 특징으로▲레저와 휴식시간의 증가▲여성들의 사회생활증가로 인한 이동시간의 증가를 꼽고있다.<양재찬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