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건강한 당신] 독성 적은 차세대 면역항암제 … 희귀 백혈병 극복 가능성 제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6면

기사 이미지

독일 뷔르츠부르크대 막스 톱(Max Topp) 교수가 유럽혈액학회에서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치료제 ‘블리나투모맙’의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유럽혈액학회

희귀 혈액암은 암 치료의 불모지였다. 다양한 치료제가 등장하면서 대부분의 암은 ‘만성질환’이라고 보기도 하지만 희귀 혈액암만큼은 예외다. 70가지가 넘는 혈액암 가운데 치료를 시도할 수 있는 질환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이런 암담한 분위기에 일부 희망이 감지된다. 지난 9~12일 덴마크에서 열린 유럽혈액학회(EHA) 학술대회에선 희귀 혈액암 치료에 대한 가능성이 제시됐다. 학술대회장을 찾아 희귀 혈액암 극복 가능성을 엿보았다.

유럽혈액학회서 주목받은 ‘블리나투모맙’

EHA는 백혈병·림프종·다발골수종 같은 혈액암 분야를 아우르는 세계 최대 규모의 학술대회. 전 세계 혈액 질환 전문가 1만5000여 명이 학술대회가 열린 덴마크 코펜하겐 벨라센터(Bella center)에 모였다.

가장 공격적인 종양 … 생존율 30% 그쳐
올해로 21회를 맞는 이번 학술대회에서 가장 주목 받은 것은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의 치료제인 ‘블리나투모맙(제품명 블린사이토)’이었다. 이름조차 생소한 이 병은 희귀 백혈병 가운데서도 성격이 가장 고약하다. 종양 세포가 빠르게 번식해 예후가 매우 나쁘다. 성인 환자 생존율은 30% 내외로, 우리나라 전체 암 생존율 69.4%(2014, 중앙암등록본부)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독한 항암제 서너 개를 한꺼번에 쓰면서 적극적으로 치료해도 쉽게 재발·전이된다. 재발 시 생존율은 7% 아래로 떨어진다. 우리나라엔 200여 명, 유럽과 미국엔 각각 2300여 명이 이 희귀 백혈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기사 이미지

이런 상황에서 블리나투모맙은 이 병의 최초이자 유일한 치료제로 등장하면서 큰 주목을 받았다. 2014년 1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임상시험이 완전히 마무리되기도 전에 이 치료제를 ‘혁신적 치료제(Breakthrough Therapy)’로 지정해 신속 심사·승인했다. 깐깐하기로 소문난 FDA가 신속 심사를 결정한 것은 치료에 당장 필요하고 효과도 뛰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학술대회에선 2014년 마무리되지 않은 임상시험(3상)의 최종 결과가 발표돼 참가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성인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환자의 전체 생존기간(OS·Overall Survival)은 기존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했을 때 4.0개월에 그쳤지만 블리나투모맙으로 치료했을 땐 두 배에 가까운 7.7개월이었다. 처음부터 적극적으로 처방하거나 다른 항암제와 병용했을 땐 생존기간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의학계에선 기대한다.

기사 이미지

이 연구를 진행한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병원 혈액학과장 막스 톱(Max Topp) 교수는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은 악성 종양 가운데 가장 공격적인 유형”이라며 “이번 연구로 블리나투모맙의 효능과 가능성이 더 확실히 입증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예전엔 재발·전이되더라도 세포 독성 항암제 외엔 치료제가 없었으나, 최근엔 재발·전이된 환자에 블리나투모맙을 처방하는 경향”이라고 설명했다.

면역체계 이용해 백혈병 치료
그가 블리나투모맙을 주목한 것은 기존 항암제에 비해 독성이 훨씬 적다는 이유도 있다. 기존 세포 독성 항암제는 종양세포와 정상세포를 가리지 않는다. 종양세포를 파괴할 때 정상세포까지 공격해 각종 부작용이 쉽게 나타난다.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엔 더 적극적으로 항암제를 쓰다 보니 머리가 빠지거나 구토를 하는 등의 부작용이 심하다. 전체 환자의 10~15%는 백혈병이 아닌 항암제 부작용으로 사망할 정도다.

기사 이미지

블리나투모맙은 종양세포를 직접 파괴하지 않는다. 대신 몸속 면역세포가 종양세포를 공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면역세포와 백혈병세포엔 고유의 신호를 내는 단백질이 있다. 각각 CD3, CD19이라고 한다. 치료제는 두 단백질을 잇는다. 그 결과 자연스럽게 면역세포가 종양세포를 없애는 원리다. 최근 3세대 항암제로 주목받는 ‘면역항암제’의 일종이다. 다른 면역항암제(면역관문 억제제)와는 달리 블린사이토는 CD19가 나타나는 백혈병 세포에만 작용한다. 위암·유방암·간암 같은 고형암에는 효과가 알려지지 않았다. 체내 면역체계를 이용하기 때문에 당연히 독성이 훨씬 적다.

종양세포와 면역세포를 잇는 독특한 작용 원리 때문에 블리나투모맙은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다른 백혈병 치료에도 사용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 이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톱 교수는 “CD19라는 단백질은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을 포함한 여러 혈액암(B세포에 의한 혈액암)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이를 토대로 블리나투모맙을 비호지킨 림프종 등 다른 혈액암 치료에 사용할 수 있을지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덴마크 코펜하겐=김진구 기자 kim.jing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