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과 버스노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지하철 3, 4호선의 9월 완전개통을 앞두고 현행 시내버스노선조정을 비롯한 서울시내 교통체계가 어떠한 모습으로 짜여질 것인가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하철과 노선을 같이하는 중복버스노선은 물론 직·간접으로 영향을 받는 버스업자들로서는 노선의 존폐에 따라 회사의 존립이 달려있는 만큼 비상한 관심을 갖지않을 수 없고 이점에서는 서울시민들도 다를 바 없다. 「지하철시대」에의 부푼 기대를 안고 2조원이 넘는 지하철 공사비를 부담하며 장구한 세월을 기다리며 온갖 불편을 감수해온 시민들은 새로 개편되는 교통체계에 주목하고 있을 것임은 당연한 일이다.
25일 세종문화회관의 공청회에서 주제 발표자들은 버스노선 조정과 버스운영방식의 현대화방안 등을 제시했다.
이들 발표자들의 연구방안이 어느 정도 반영될지는 모르나 새로 개편될 교통체계는 시민교통편의와 사회경제효율의 극대화라는 원칙아래 지하철과 버스업자들의 운영측면이 다같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지하철역이 멀리 떨어진 지역에 버스노선을 갑자기 폐지시킴으로써 시민들이 불편을 감수하고 억지로 지하철을 이용하게 해서도 안될 것이고 버스표 1장이면 목적지까지 갈 수 있었던 것을 버스와 지하철을 번갈아 타 추가운임부담과 갈아타는 번거로움을 주어서도 안될 것이다.
그렇다고 지하철이 엄연히 운행되고 있는데 지상에 같은 노선의 버스를 둠으로써 오는 사회경제적 손실을 무시해도 안될 일이다. 날로 심해지는 교통혼잡을 부채질하게 되고 대기오염도 가중시키기 때문이다. 지하철과 중복되는 노선을 그냥 둘 바에는 무엇 때문에 막대한 자금을 들여 지하철을 건설했느냐는 비난도 면치 못할 것은 뻔한 일이다.
따라서 새도 마련될 교통체계는 시민교통편의와 사회경제적 효율의 극대화에 최우선을 두고 짜여져야 한다는 데는 이론이 있을 수 없다.
지하철과 연결해주는 지역순환버스를 신설해 폐지되는 버스노선의 공백을 메워 주고 중복·굴곡노선을 직선으로 해 버스의 교통효율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버스노선의 조정에서 유의할 점은 적자운영을 거듭하고있는 지하철운영을 개선시키기 위해 버스노선을 무리하게 조정해서는 안되다는 점이다.
지하철이 완전개통 된다해도 지하철이 담당하는 교통인구는 기껏해야 20%내외이며 버스는 50%이상이나 된다. 서울의 대중교통의 주종이 어디까지나 노선버스임을 명심해야한다.
교통인구가 날로 늘어나는 추세이고 보면 노선버스의 중요성은 더욱 무시할 수 없는 입장이다.
따라서 버스와 지하철과의 대립·경쟁관계에서 출발할 것이 아니라 서로 보완하는 노선체계로 정립되어야 마땅하다.
이런 점에서 공청회 주제발표에서도 지적되었듯이 버스와 지하철을 완전통합 운영해 승차권 1장으로 버스와 지하철을 마음대로 갈아탈 수 있고 교통수익금을 적정 배분하는 방안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