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당원 없다"며 전당대회 연기···12월까지 안철수·천정배 체제 유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중앙포토]

 국민의당이 차기 전당대회를 정기국회 이후로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현재 안철수ㆍ천정배 공동대표 체제가 올해 12월까지 유지되는 셈이다.

국민의당 전당대회 연기···12월까지 안철수·천정배 체제 유지
25일 최고위원, 3선이상 중진의원 모임에서 결정
박주현 "당직쇄신 등 변화 모습 보여야" 반발

국민의당은 25일 두 공동대표를 포함한 최고위원과 박지원ㆍ정동영 20대 당선인 등 3선이상 중진의원 조찬 간담회를 열어 이 같이 결정했다.

주승용 원내대표는 직후 브리핑에서 “국민의당이 20대 국회에서 단합된 수권정당의 모습을 보여주는 게 중요하기 때문에 차기 전당대회를 정기국회(9월 1~12월 9일) 이후에 열기로 뜻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민의당은 신생정당이라 원내행정실 당직자도 없는 데다 6개월 이상 당부를 납부한 기간당원이 당 대표를 뽑도록 돼 있어 물리적으로 전당대회를 열기 불가능하다”며 전당대회 연기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기국회 이전에 문호를 개방해 당원과 지역위원장을 모집하고 2년후 지방선거를 대비해 인재모집에 전념하는 등 기본체제를 튼튼히 하는데 전념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국민의당이 2월 2일 창당대회에서 제정한 당헌 부칙 2조에는 ‘공동대표와 최고위원의 임기는 차기 전당대회에서 당대표와 최고위원이 선출될 때까지로 하며 차기 전당대회는 창당 후 6개월 이내에 개최한다’고 못박혀 있다. 이날 전당대회 연기 결정은 26~27일 20대 당선인 워크숍에서 추인을 받으면 당헌을 고치겠다는 의미다.

이날 비공개 최고위원ㆍ중진의원 조찬회동에서 박주현 최고위원(비례대표 3번 당선인)만 "당헌을 지키지 않는 데 대해 현 지도부를 유지하려 한다는 등 오해의 소지가 있는 데 대해 정확히 국민에 설명해야 한다"고 다른 의견을 냈다고 한다.

박 최고위원은 ”전당대회를 연기해 현행 공동대표 체제를 유지할 불가피할 사정이 있더라도 기타 당직 쇄신 등 국민들에게 근본적 변화를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안철수 대표는 이날 비공개회의에서 본인의 당 대표직 유지 여부와 연관된 문제여서 별도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고 한다. 대신 회의 직후 기자들이 당헌 개정에 대해 질문하자 ”오늘 중진회의에서 어느 정도 뜻이 모였고 최종 결정은 26일 당선자들 모두 모인 자리에서 의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상 기자 ground@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