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한·미·일 협력해야 핵 없는 한반도 가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기사 이미지

박근혜 대통령이 31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컨벤션 센터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왼쪽부터)와 정상회의를 한 뒤 공동기자회견을 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이 또다시 도발을 감행한다면 더욱 강력한 제재와 고립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기자회견을 마친 뒤 악수하고 있다. [워싱턴=김성룡 기자]

핵안보정상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을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은 31일(이하 현지시간) “만약 북한이 또다시 도발을 감행한다면 북한은 더욱 강력한 제재와 고립에 직면할 수밖에 없을 것임을 경고한다”고 밝혔다.

3국 정상회의 뒤 공동 회견
“3국 안보 서로 연결돼 있다”

박 대통령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한·미·일 정상회의를 한 뒤 연 공동 기자회견에서 “최근 고조되고 있는 북한의 도발 위협과 관련해 미·일 정상과 북한의 도발을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 2270호가 채택된 만큼 이제 중요한 것은 결의를 철저히 이행해 북한이 핵 포기 없이는 생존할 수 없음을 깨닫게 하는 것”이라며 “한·미·일 3국은 안보리 결의 이행뿐 아니라 각국의 독자 대북제재 조치 시행을 서로 긴밀히 조율해 나가면서, 국제사회와의 연대도 한층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늘 회의에선 북한의 핵 능력 고도화를 차단하고 잘못된 셈법을 바꾸기 위해 대북 공조를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며 “북한의 인권 개선을 위한 노력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오바마 대통령은 “우리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고, 한·미·일의 안보는 연결돼 있다”며 “3자 안보 협력이 북한의 핵 확산과 핵 위협을 억제할 수 있다는데 합의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강력한 대북 제재 결의가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와 핵 활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3국이 더 협력함으로써 핵이 없는 한반도를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3국 정상회의에 대해 “오바마 대통령이 제안해 공동 회견이 마련됐다”고 말했다. 한·미·일 3국 정상회의는 2014년 3월 헤이그 정상회의 이후 2년 만에 열렸다. 박 대통령은 이날 한·미 정상회담→한·미·일 3국 정상회의→한·일 정상회담→한·중 정상회담을 잇따라 가졌다.

이에 앞서 박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블룸버그통신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통일은) 우리가 추구해야 하는 최우선 목표”라며 “지금이라도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진정한 변화의 길로 나선다면 얼마든지 그런 길로 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무엇이 재임 기간 업적이 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한반도 평화통일의 초석을 놓은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싶다”고도 말했다.

워싱턴=신용호 기자 novae@joongang.co.kr
사진=김성룡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