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核 당사자 대화 재개 노력"

중앙일보

입력

노무현(盧武鉉)대통령과 후진타오(胡錦濤)중국 국가주석은 7일 베이징(北京)인민대회당에서 한.중 정상회담을 열고 북핵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한다는 원칙을 상호 확인했다.

두 정상은 또 "베이징 3자회담으로 형성된 대화의 전기를 살려나가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북핵 문제의 실질적이고 원만한 해결을 위해 '당사자간 대화'가 다시 시작돼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직후 기자회견에서 盧대통령이 밝혔다.

청와대 측은 사전 배포된 '보도참고자료'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최근 관련국 간에 논의되고 있는 확대 다자회담 개최를 위해 양국이 노력하기로 했다'고 발표했으나 실제 회담에선 '당사자간 대화'라는 표현으로 수정돼 회담 과정에서 진통이 있었음을 시사했다.

라종일(羅鍾一)국가안보보좌관은 이와 관련, "'당사자간 대화'란 다자회담의 참여자 등 형식이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며 "정상회담에서는 큰 원칙만 얘기할 뿐이며 구체 내용은 양국 외교장관 회담 등을 통해 계속 협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盧대통령은 이날 "북한 핵무기 프로그램은 용납할 수 없으며 평화적이고 외교적인 수단으로 폐기돼야 한다"고 강조한 뒤 "북한이 상황을 악화시키지 않도록 중국 측이 적극적 역할을 해달라"고 胡주석에게 요청했다.

또 지난 4월의 베이징 개최 3자회담에 기여한 중국 정부의 노력을 평가하고 앞으로도 중국 정부가 건설적인 노력을 경주해 줄 것을 당부했다.

胡주석은 이날 회담에서 "조선반도(한반도) 비핵화를 지지하지만 조선(북한)의 안보 우려도 진지하게 고려,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胡주석은 盧대통령이 "대북 인도적 지원은 정치적 문제와 연계 없이 추진하겠다"고 한 데 대해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

두 정상은 또 10여년간 양국 협력의 성과를 기초로 한 차원 높은 협력관계로 발전해 나가야 할 필요성에 공감해 양국관계를 '전면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두 정상은 이어 마약.테러.국제범죄.전염병 등 초국가적 문제에 대한 공동대응을 강화키로 합의하고 사스를 계기로 시작된 보건분야 협력도 지속하기로 했다.

한.중 양측은 이날 盧대통령과 胡주석이 참석한 가운데 '민사.상사 사법공조 조약''표준화 및 적합성 협력협정''공학과학 기술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등을 체결했으며 중국 중서부 지역을 관할할 한국 측의 청두(成都)총영사관 설치에 합의했다.

盧대통령은 또 점진적으로 연간 5백명의 중국 청소년을 한국으로 초청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盧대통령은 이날 胡주석의 방한을 초청했으며 胡주석은 이를 수락, 양측은 외교경로를 통해 구체적 일정을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베이징=최훈 기자choih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