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勞-勞 갈등' 양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현대자동차 하청업체 근로자들이 "우리는 사실상 현대차의 비정규직근로자"라며 별도의 노조 설립을 추진하는 것과 관련, 현대차 노조가 이를 반대하고 나서는 등 노-노 갈등 양상이 빚어지고 있다.

현대차 울산공장 비정규직투쟁위(비투위)는 8일 5공장에서 5천8백여 하청업체 근로자를 조합원으로 노조 창립총회를 열었다.

비투위는 9일 오전 중 울산 북구청에 노조설립 신고서를 제출키로 했다.

비정규직 노조는 설립 인가가 나온 직후 ▶정규직의 80%(현 73.8%) 수준으로 임금 인상▶상여금 8백% 지급▶근속수당.성과급 정규직과 동일 적용 등을 사측에 요구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노조 측은 8일 유인물을 통해 "올해 임단협에서 '비정규직 처우개선'을 핵심 요구안으로 내놨고 비정규직도 노조에 가입할 수 있도록 추진 중인데 노조를 따로 만들면 사태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

비정규직이 별도 조직화하면 노조 운영에 부담이 되고 근로자 사이에 분열의 불씨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비투위는 "현 노조는 비정규직의 신분 보장 문제 등에 대해 입장이 불분명한 만큼 지위 보장 및 처우 개선을 위해 별도의 노조가 필요하다"고 맞서고 있다.

1~3단계로 구분된 하도급 업체마다 근로조건이 다르고 급여.복지혜택 등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만큼 현 노조가 주장하는 '처우 개선'이 탁상공론에 그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비정규직 노조는 일단 민주노총 산하로 출범한 뒤 내년 상반기 정규직 노조와의 통합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현대차 측은 "2개의 노조를 상대해야 하는 초유의 사태에 대비, 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울산=허상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