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정찰총국 해커 3000명…김정은이 직접 격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기사 이미지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대남 테러를 지시했다고 국정원이 밝힘에 따라 정부에 대테러 비상이 걸렸다. 이병기 대통령 비서실장 등이 19일 국회를 찾아 테러방지법 처리를 촉구한 것도 그 일환이다.

테러·암살·해킹 등 대남 도발 총괄
“김영철 총국장 복합도발 전문가”
김신조 사건 배후 총참모부가 뿌리

 특히 대남·해외 공작을 총괄하는 북한의 정찰총국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김정은의 지시를 받고 정찰총국이 준비에 착수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정보당국에 따르면 북한 정찰총국장은 지난해 말 김양건 사망 후 통일전선부장에 오른 군부 강경파 김영철이 겸직하고 있다고 한다.

1990년 남북 고위급회담 당시 북측 대표였던 김영철을 상대한 김희상 전 청와대 국방보좌관(현 한국안보문제연구소 이사장)은 “김영철은 요인 테러나 국가 주요 시설 파괴, 사이버 공격 등을 동시다발로 펼치는 ‘복합 도발’을 구사할 수 있는 북한 내 몇 안 되는 인물 중 한 명”이라고 말했다.

이런 정찰총국에 대한 김정은의 애정도 각별하다. 김정은이 지난해 6월 정찰총국 관계자들을 모아 ‘정찰 일꾼대회’를 열고 격려한 사실이 당시 북한 조선중앙통신에 보도된 적도 있다.

 정찰총국은 총 6개 국(局)을 두고 간첩 양성, 요인 암살, 테러, 사이버 해킹 등을 수행하는 대남 도발의 본산이다. 최근엔 별도의 사이버 부대를 두고 사이버전(戰) 역량도 강화하고 있다. 정찰총국 산하 전자정찰국과 사이버전 지도국은 사이버 테러 전담부대로 활동하고 있다.

정부는 이 부대에 배치된 전문 해커만 3000명에 달한다고 파악하고 있다. 원자력발전소 도면 등을 해킹한 2014년 ‘한국수력원자력 사이버 공격’, 2013년 KBS·농협 등의 전산망 마비 배후로 지목된 곳도 정찰총국이다. 정찰총국은 그 뿌리를 인민군 총참모부에 두고 있다. 68년 김신조 일당의 청와대 습격, 83년 아웅산 테러, 87년 대한항공기 폭파 등의 배후가 총참모부다.

현재의 정찰총국은 2009년 인민무력부(국방부) 정찰국, 노동당 작전부, 당 대외정보조사부(35호실)를 통합해 만들어졌다. 대남 무력 도발과 간첩 남파, 해외공작 등을 총괄하기 위해서다.

 대남 테러 위협이 커지면서 정부는 탈북자들을 상대로 한 테러에 대비하고 있다. 정보 당국 관계자는 “북한 외교관 출신으로 91년 망명한 고영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부원장에 대한 테러 첩보를 입수했다”며 “경찰이 경호인력을 늘리고 24시간 밀착 경호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군 당국은 국가급 대테러 부대의 추가 설치도 추진 중이다. 현재 군은 국가급 대테러 부대로 육군 특수전사령부 소속의 707 대테러 특수임무대 등을 운용하고 있다.

군 당국자는 19일 “부대를 신설하거나 기존 부대 예하 조직을 확대해 국가급으로 격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형구 기자 kim.hyoungg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