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 인터넷 사용 기록 수집…구글 사생활 침해 논란

미주중앙

입력

구글이 학생들의 인터넷 사용 기록을 수집해 온 것으로 드러나 사생활 침해 논란이 일고 있다.

최근 디지털 인권단체 '일렉트로닉프론티어파운데이션(EFF)'은 학교에서 구글 크롬북을 사용하는 학생들의 개인정보와 인터넷 검색 기록 등을 수집해 광고 판매에 사용, 학생 개인정보보호 규정을 위반했다며 연방 공정거래위원회(FTC)에 소장을 제출했다.

이에 구글은 기업 블로그를 통해 "구글의 교육용 프로그램은 법에 저촉되지 않는다"면서도 "프로그램 향상을 위해 일부 학생들의 인터넷 사용 기록을 수집했다"고 일축했다.

현재 킨더가튼부터 초·중·고교 절반 이상이 구글이 제작한 테블릿 또는 랩탑인 크롬북을 사용하고 있다. 가격이 저렴한 데다가 구글은 크롬북을 사용하는 학교에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무료로 제공하면서 교육 기술 시장을 장악해 가고 있다.

문제는 크롬북에서 자동 실행되는 동기화(싱크) 기능이다. '구글 싱크'로 알려진 이 기능의 자동 실행으로 인해 크롬북을 사용하는 학생들의 웹 검색 기록과 비밀번호 등이 크롬북과 웹브라우저 크롬에 자동 저장, 구글의 정보 수집을 가능케 하기 때문이다.

EFF에 따르면 구글은 구글 캘린더와 Gmail, 구글 닥(Docs)을 제외한 웹브라우저·지도·뉴스 검색, 유튜브 시청 기록 수집을 통해 때로는 특정 사용자의 전체 프로파일 등을 작성해 다양한 광고 판매에 사용하고 있다.

이조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