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주 '위안부' 교육…일본 방해공작 대비하자

미주중앙

입력

내년 9월부터 캘리포니아 고등학생들이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 배울 예정인 가운데 일본 정부 및 커뮤니티의 방해 및 저지에 대비한 한인사회의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통합교육구 교육위원회가 공립학교에서 위안부 문제를 배울 수 있도록 한 데 이어 가주 교육국도 '역사·사회 교육과정 지침 개정'을 통해 10학년부터 배우게 되는 역사·사회 과목 교과서에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이 강제로 시행한 위안부 문제를 자세히 기술할 것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안심하기에는 이르다.

위안부 문제 관련 활동을 하고 있는 가주한미포럼의 김현정 사무국장은 "일본 정부가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는 올해 초 5억 달러의 예산을 책정해 과거 전쟁범죄를 덮으려고 전방위적인 역사 왜곡을 벌이고 있다"며 "내년 1~2월 미국 내 일본계 커뮤니티와 전문가를 동원한 치열한 역사 왜곡·축소·미화 압력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본 정부 및 커뮤니티는 이미 '제국의 위안부'의 저자인 한국 세종대학교 박유하 교수를 워싱턴DC 윌슨센터에 초청해 콘퍼런스를 개최했으며 정치계·학계·언론계를 대상으로 "위안부는 성노예가 아니다" "위안부는 자발적인 것이었다" 등의 주장을 하고 있다.

특히 샌프란시스코의 위안부 교육을 저지하기 위해 지난 10월 위안부 결의안을 무력화하는 안건을 상정했고 이달 초에는 일본 전 외교부 회장(현직 주의원)인 아키아 겐야가 샌프란시스코를 방문했다.

미국 내 지역 정부들이 추진한 위안부 기림비 또는 평화의 소녀상 건립에도 일본 정부와 주민들이 나서 반대했다. 이 때문에 실제 부에나파크, 풀러턴 등에서는 기림비 또는 소녀상 건립이 무산됐다.

김현정 사무국장은 "이 같은 움직임을 볼 때 일본 정부가 위안부 교육을 가만히 둘 리 없다"며 "음으로 양으로, 온갖 방법을 동원해 방해공작과 반대로비를 벌일 것이고 우리도 가만히 있으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가주한미포럼은 내년 초부터 위안부 교육을 지지하는 이메일 보내기 캠페인을 전개한다는 방침이다. 또 가주 하원의회 교육위원회 소속인 영 김 의원과 긴밀히 협의해 가주 교육국과 의회 등에 한인사회 목소리를 전달할 계획이다.

역사·사회 교육과정 지침 개정은 내년 2월 29일까지 지역사회 의견을 수렴해 3월 중 최종안을 확정하게 된다. 김 사무국장은 "이에 앞서 열릴 공청회에 전문가와 지지자가 대거 참석해야 한다"며 "한인들의 관심과 동참, 지원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재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