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 회의 공동선언문 채택 무산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2014 한국·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참석한 박근혜 대통령과 아세안 정상들의 단체 기념사진. 사진=중앙일보 박종근 기자]

 
말레이시아에서 4일 열린 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확대 국방장관 회의의 공동선언문 채택이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대립으로 무산됐다. 로이터 통신은 “중국이 남중국해에 대해 어떤 언급도 하지 않도록 로비를 했기 때문”이라는 미 국방부 고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공동선언문 무산 소식을 보도했다. 이번 회의에는 아세안 국가들과 미국·중국·일본 등 18개국 국방장관 등이 참석했다.

확대 국장방관 회의는 지난달 27일 미국 군함이 남중국해 인공섬 근해에 진입한 이후 영유권 분쟁 당사국과 관련국이 처음으로 함께 모인 자리여서 관심을 모았다. 공동선언문에 미국이 주장하는 ‘항행의 자유’ 관련 내용을 포함할 지 여부를 놓고 참가국들은 뜨거운 신경전을 벌였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이날 “당초 의장국 말레이시아가 만든 공동선언문 초안에는 ‘항행의 자유’ 표현이 포함돼 있었지만 중국을 자극하지 않는 내용으로 대폭 수정됐다”고 전했다. 신문은 미군의 남중국해 순시 활동을 계기로 미·중의 대립이 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부추기는 표현을 피하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지난 3월 아세안 국방장관회의 공동선언문에는 ‘항행의 자유’를 강조하는 표현이 포함된 바 있다.

중국은 공동선언문에서 남중국해 자체를 언급하는 데 반대했다. 또 당사국 간 해결 원칙을 내세우며 남중국해 분쟁 문제를 다자 회의에서 논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미국은 일본, 필리핀 등과 힘을 합해 대응했지만 아세안의 적극적인 개입을 반대하며 중국 편에 선 캄보디아 등을 설득하는데 실패했다.

도쿄=이정헌 특파원 jhleehop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