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퇴진” 시위 재점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이 위헌 논란과 국민 반발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19일 참의원에서 안보법안을 강행 처리한 뒤 ‘반(反)아베’ 시위가 계속되고 있다. 시위대는 안보법 폐지를 요구하는 것을 넘어 원전 재가동과 오키나와(沖繩) 미군기지 이전 문제 등에 대해서도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일 밤 도쿄 지요다(千代田)구 히비야(日比谷)공원에서 열린 ‘아베 정권 NO! 1002 대행진’ 집회에는 시민 2만 여 명이 참가했다.

“전쟁 법안 등 폭주, 최악의 정권”
도쿄 학생·시민단체 2만명 집회

 의회 앞 반대 시위에 앞장섰던 대학생 단체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한 학생 긴급행동(실즈·SEALDs)’은 수도권 반원전연합·차별반대 도쿄액션과 함께 집회를 이끌었다. 실즈의 핵심 멤버로 최근 자신과 가족에 대한 살해 협박까지 받았던 대학생 오쿠다 아키(奧田愛基)는 시위 차량을 타고 진두지휘했다. 나카노 고이치(中野晃一) 조치대 교수는 “안보법과 원전 재가동은 국가가 폭주를 통해 우리를 굴복시키려는 움직임”이라며 “우리의 생활과 고귀한 생명, 인간의 존엄을 지키기 위해 싸워야 한다”고 말했다. 혐한 시위 반대활동을 벌여온 ‘차별반대 도쿄액션’의 우에다 유스케(植田祐介)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기반으로 연대하며 아베 정권 퇴진 운동을 계속할 것”이라며 “민주당 등 야당들도 힘을 더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걸 깨닫게 하고 싶다”고 밝혔다.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91) 전 총리는 “1960년 안보 투쟁 때 모인 사람은 노조나 전국학생총연맹 등에 의해 동원됐지만 현재 시위 참가자들은 자발적으로 나섰다”며 안보법 반대운동을 높이 평가했다. 그러면서 “일본의 대다수 헌법학자가 위헌이라고 지적한 법안을, 법을 존중해야 할 의회의원들이 논의한 것은 ‘헌법위반 의회’”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와 같은 폭거는 이번으로 끝내야 한다”며 “전쟁을 하지 않은 지난 70년의 경험을 소중히 여기며 ‘무슨 일이 있어도 전쟁을 하지 않는다’는 마음으로 힘을 내자”고 강조했다.

도쿄=이정헌 특파원 jhleehop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