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김무성 "안심번호제 야당 혁신위 발명품 아니다" 적극 해명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30일 당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안심번호제와 관련해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가 만든 새로운 기법인 것처럼 오해가 많다”고 주장했다. “안심번호제는 여론조사를 위해 오래 전부터 시행된 일반화된 기법이고, 이 기법은 KT에서 근무하던 권은희 의원이 20년 전에 개발한 것”이라는 설명과 함께였다.

김 대표의 이 같은 발언은 28일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와의 ‘부산회동’ 결과를 놓고, 친박근혜계를 중심으로 당내에서 “야당 혁신위의 손을 들어준 이해할 수 없는 협상”이란 비판이 제기되자 적극 해명에 나선 것이다. 안심번호제는 SKT·KT·LGU+ 등 이동통신사업자가 특정지역에 사는 유권자들의 전화번호를 안심번호(착신만 가능한 1회용 가상번호)로 바꿔서 제공하면, 각 당이 이 번호들을 가지고 여론조사를 하는 방식이다. 김 대표와 문 대표는 28일 부산에서 만나 이 안심번호제를 활용한 국민경선을 내년 총선 공천에 함께 도입하기로 뜻을 모았다.

다음은 당 회의에서 나온 김 대표의 해당 발언 전문.

“새누리당은 보수혁신특별위원회 만들어서 정치개혁을 위한 많은 혁신안 만들었고, 공천제도와 관련해서는 공천권을 국민들께 돌려드린다는 개혁 중에 개혁안을 당론으로 확정한 바 있다. 그 방법론으로 ‘미국식 오픈 프라이머리’를 당론으로 채택해서 입법 노력을 그동안 해왔다.

그러나 새정치민주연합에서 과거 대선과 총선에서 공약했던 오픈 프라이머리와 다른, 국민공천단을 구성해 경선을 하는 안을 확정한 바 있다. 그런데 새정련에서 계속 오픈프라이머리를 할 수 있다는 그러한 발언을 해와서, 이 문제의 확실한 입장을 조율하기 위해서 문재인 대표와 만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그래서) 추석연휴 중에 만나 협의하게 됐다.

그 내용은 이미 공개된 바와 같다. 국민에게 공천권돌려드리겠다는 취지에서, 오픈 프라이머리의 부작용을 최소하는 방안으로 새로운 안 제시한 것인데, 이 안은 양당의 공식 기구에서 토론해서 거부될 수도 있고, 더 좋은 안으로 발전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일부에서 이 안이 새정치연합의 공천안을 그대로 수용한 것이라고 주장하는데 그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새정치연합의 공천안과는 다른 새로운 안이다.

안심번호와 관련해서 이것은 야당 혁신위가 만든 새로운 기법인 것처럼 오해가 많은데 이것 또한 사실이 아니다. 안심번호제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휴대전화 여론조사를 위해 오래 전부터 시행된 일반화된 기법이고, 이 기법은 KT에 근무하던 권은희 의원이 20년 전에 개발한 것이다. 또 지방선거 후보 경선, 전당대회, 재보궐 선거, 청년위원장 선거 등에 우리 당도 안심번호 기법을 활용해온 바 있다.

선관위에서 선거 관련 각종 여론조사의 정확성 기하기 위해서 2015년 2월에 정치관계법 개정의견을 냈고, 각 당에서 의원들이 법안을 냈고, 우리 당에서는 권은희 의원이 이 법안을 냈다. 개정법률안이 정개특위 소위에서 여야의 합의로 통과된 그런 상태에 있다는 점을 말씀드린다.”

이은 기자 lee.e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