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북한 도발을 막아라… 미국, IAEA 총회 등서 비핵화 외교

중앙일보

입력

정부가 북한 도발 방지 외교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음달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을 전후해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추가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점쳐지는 상황에서 미국 등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기 위해서다.

6자회담 한국 수석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13일 오전 미국으로 출국했다. 황 본부장은 뉴욕과 워싱턴을 차례로 방문해 미국 측 인사들과 북핵 관련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13~15일 뉴욕에서는 유엔 안보리 15개 이사국 대사를 만난다. 황 본부장이 유엔을 찾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황 본부장은 안보리 대사들에게 북핵 문제 등을 설명하고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한다.

16일 오후에는 워싱턴에서 6자회담 미국 수석대표인 성 김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협의를 한다. 이 자리에서 8ㆍ25 남북합의와 한ㆍ중 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상황을 미국 측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게 된다. 북한의 추가 도발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논의할 전망이다. 지난 9월2일 한중 정상회담에서 “(한반도)긴장을 고조시키는 어떠한 행동에도 반대한다”는데 의견을 모은데 이어 한미 양국도 북한의 도발을 막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게 된다.

정부 관계자는 “한ㆍ미ㆍ일 외교장관 회의, 미ㆍ중 정상회담, 한ㆍ미 정상회담 등 9~10월 있을 주요 외교일정을 계기로 북핵 문제 진전을 위한 방안을 협의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지난 11일 외교부 국감에서도 심윤조 새누리당 의원은 “미국이 북핵 문제 해결에 소극적인 분위기로 알고 있다. 미국과 한ㆍ중 회담 결과를 잘 이야기해서 미국이 적극적인 역할을 하도록 설득해달라”고 황 본부장에 주문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14~18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리는 제59차 국제원자력기구(IAEA) 총회에 조태열 외교부 2차관을 수석대표로 하는 대표단을 파견한다. 조 차관은 15일 오전 기조연설 등을 통해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협조와 지지를 당부할 계획이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