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Report] 대기업 가고 싶다면, 알아야 할 단어 50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지·여·인(지방대·여성·인문계)’은 2015년도 하반기 대졸 공개채용(공채)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대기업 공채가 이달 초를 기점으로 시작됐지만 여전히 분위기는 냉랭하다. 최근 취업포털 인크루트 조사 결과, 국내 상장사 1700곳의 올 하반기 채용 인원은 지난해 하반기(2만1041명)보다 2.4% 감소한 2만536명으로 집계됐다. 게다가 문과 출신 학생들이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건 이제 ‘상수(常數)’가 됐다. 인크루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57.2%)이 이공계를 원했고, 33.2%만이 인문·사회계 졸업자를 채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서미영 인크루트 상무는 “기업들이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재무·영업·인사 업무를 모두 처리하면서 문과 출신이 지원할 만한 사무직은 줄어들 수밖에 없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본지는 2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와 공동으로 올 하반기 공채를 준비하는 문과생이 꼭 외워야 할 ‘필수 개념 50선(選)’을 정리했다. 삼성전자·현대자동차·SK텔레콤·LG화학·롯데쇼핑·대한항공·네이버·아모레퍼시픽·이마트·대우증권 등 대한민국 대표 기업 10곳을 대상으로 각 회사별로 5개씩 필수 개념을 뽑았다.

 특히 문과생이라도 중학교 수준의 수학 문제는 풀 수 있어야 낙방을 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롯데·신세계 등 유통업체에서 ‘사과 판매량이 150개에서 450개로 늘어났을 때 매출 증가율을 구하라’는 문제를 면접에서 낼 경우, 300%라는 오답을 낼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정답은 200%.) 매출 증가율을 구하는 공식[(A-B)/BX100=( )%]에 따라 300(=450-150)을 150으로 나눈 다음, 다시 100을 곱해야 한다. 서 상무는 “매출 증가율뿐만 아니라 소금물의 농도를 구하는 문제, 등차수열·등비수열 같은 기본 개념은 알아두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김영민 기자 brad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