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해군 사령관 전격 해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3면

중국 지도부가 지난달 초 산둥(山東)성 동쪽 해역에서 발생한 북해함대 소속 361호 잠수함 침몰사건의 책임을 물어 해군 사령관 등 최고위층 4명을 면직 조치했다.

홍콩의 언론은 이 같은 규모의 문책 인사는 1927년 인민해방군 창군 이래 처음 있는 초강경 조치로 평가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12일 "당 중앙군사위원회가 스윈성(石雲生.63.상장)해군 사령원(사령관)과 양화이칭(楊懷慶.64.상장)해군 정치위원을 해임하고 후임으로 각각 장딩파(張定發.60)중장과 후옌린(胡彦林)중장을 임명했다"고 보도했다.

경질된 石.楊 두 사람 모두 15, 16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 당 중앙위원으로 군부 내 실력자였다. 張신임사령원은 상하이(上海) 우쑹(吳淞) 출신으로 장쩌민(江澤民)당 중앙군사위 주석의 심복으로 알려져 있다. 또 북해함대 사령원이었던 딩이핑(丁一平)중장과 정치위원 천셴펑(陳先鋒)중장도 경질했다.

丁사령원은 지난해 해군 사상 처음으로 세계일주 함대를 이끌었던 유력한 차기 해군사령원 후보였다. 후임에는 장잔난(張瞻南)해군부참모장(소장)이 중장으로 승진하며 북해함대 사령원에 임명됐고 정치위원에는 우화양(華揚)중장이 선임됐다.

중화권 봉황TV는 잠수함 사고와 관련, 뤼순(旅順)해군기지, 북해함대, 해군본부 관계자들에 대한 정밀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와중에 지휘부 문책이 전격적으로 이뤄졌다고 보도했다.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 루젠화(陸建華)박사도 "후진타오(胡錦濤)국가주석이 추진하고 있는 중국군의 국제.현대화 노선에 따라 신속하게 사건 뒤처리에 나선 것"이라며 "어느 누구든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져야 한다는 당 중앙의 인식을 명확히 반영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홍콩=이양수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