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365 응급실 엑소더스(대탈주) 가속화, 이유는?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중앙일보헬스미디어 중앙일보헬스미디어네비게이션No.365 Date.2015.07.24 sample응급실 엑소더스(대탈주) 가속화, 이유는?의료인 감염 취대 취약지·응급실 폭행 등 잇단 악재 병원 내에서 응급실 근무에 대한 불안감이 점차 커지고 있다. 감염의 최대 취약지로 낙인찍힌 데다 각종 폭행사건 발생 위험이 높다는 우려 탓이다.이번 메르스 사태로 응급실은 의료인 감염의 최고... 새로운 뉴스 서울의대에 미국 듀크대 MBA까지 나온 의사의 병원경영 노하우 전공의 연봉 가장 많이 오른 병원은 어디? 램시마, 유럽 시장에 선전포고 제2의 팔팔을 잡아라…시알리스 복제약 시장 치열 기껏 메르스 치료해놨더니 이제 와서 뒷통수? 많이 본 뉴스 끝나지 않은 가짜 백수오 논란, 혼입방지 안했나 못했나 서울대>제주대>경상대>강릉원주치대>강원대병원 순 메르스發 제약 매출손실 최악은 피했지만… 전공의 연봉, 최고 5865만원 최저 2995만원 만성 중이염 환자, 난청 위험 일반인 3배 Jhealth 오피니언 [인터뷰]"메르스 환자 우리 병원와서 차라리 다행" [칼럼]동원·CJ 통조림 GMO기름 쓰나? 자료 공개해야 HEALTH BELL녹십자

[인기기사]

·"HIV 감염인은 모두 즉시 치료 받아야" [2015/07/23] 
·환자 맞춤형 ‘정밀의학’ 어디까지 왔나 [2015/07/23] 
·“인턴 14%·레지던트 9%, 최근 3개월간 의료과실 경험” [2015/07/23] 
·삼성판 1호 바이오시밀러 9월 판매허가 유력 [2015/07/24] 
·“환자 정보 다루는 외주 전산업체 관리·감독 강화” [2015/07/23] 

중앙일보헬스미디어 webmaster@jhealthmedia.com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