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조직개편 매듭] 국내 힘 빼고 해외 힘 실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국가정보원이 지난주 과장 등 중간 간부와 일반 직원에 대한 인사를 했다. 당초 예상보다 훨씬 큰 폭으로 이뤄진 데다 파격적인 승진 인사도 적지 않았다는 게 관계자의 말이다. 국내와 해외정보 파트 사이에도 인적 교류가 적지않아 물갈이 성격도 띠고 있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지난 4월 25일 고영구 원장의 취임과 5월 9일 부서장급 인사로 시작된 국정원의 조직 개편과 인사가 마무리됐다. 高원장은 3일 국회 정보위원회에 참석해 이 같은 국정원의 조직 개편.인사의 윤곽을 정보위원들에게 비공개로 브리핑했다.

노무현 정부의 국정원은 원장을 정점으로 ▶해외 담당 염돈재(廉燉載)1차장▶국내 정보담당 박정삼(朴丁三)2차장▶대북 담당 김보현(金保鉉)3차장▶조직.예산 담당 서동만(徐東晩)기획조정실장으로 짜였다.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대북 담당 3차장을 신설(2000년 7월)한 김대중 정부의 체제를 유지한 것이다.

하지만 알맹이는 크게 바뀌었다. 한 정보위 참석자는 "2차장 산하의 대공정책실을 정보분석실과 협력단으로 분리해 축소하고, 남은 인원을 해외 정보 수집에 주력하는 부서로 분산 배치했다"며 高원장의 보고 내용을 전했다.

특히 국정원은 해외 산업 정보의 획득을 위해 산업정보처를 새로 구성해 힘이 실리도록 했다. 또 1차장 산하에 국익전략실을 두어 동북아 중심 국가 건설 구상 등과 관련한 해외 정보 수집을 맡겼다.

대공수사국도 개편해 국정원은 해외 관련 간첩 사범만 맡고 국내의 대공 수사 업무는 검찰과 경찰에 이관했다. 시.도지역 일부 지부장의 직급도 2급에서 3급으로 하향 조정함으로써 외형적으로나마 어깨에 힘을 빼도록 한 대목도 눈에 띈다.

국정원은 또 그동안 국정원이 도.감청 의혹 등 정치적 논란에 휩싸이면서 조직의 상당 부분이 노출됐다는 판단에 따라 보완 조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관계자는 "각 실.국의 명칭을 바꾼 것은 물론 숫자로 부르는 실.국 호칭(예를 들어 과거 대북전략기획실은 '5국')도 변경했다"고 말했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