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금 2007년 중 100% 회수 이젠 해외 부실채권 공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대우계열사 매각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매각이 마무리되면 공사에 투입된 공적자금을 100% 회수하게 될 것입니다."

자산관리공사(캠코) 김우석(사진) 사장은 올해 공적자금의 조기 회수와 해외 부실채권 시장 진출이라는 양대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전사적인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3일 밝혔다.

김 사장은 "외환위기 이후 부실채권정리기금을 통해 투입된 공적자금 39조7000억원 중 지난해까지 36조3000억원을 회수했다"며 "올해 대우건설과 대우정밀.대우건설을 매각하면 2조원 이상이 더 들어올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후 대우조선해양과 쌍용건설.대우인터내셔널이 갖고 있는 교보증권 지분 등을 팔면 내년까지 공적자금을 전액 상환할 수 있으리라는 게 김 사장의 예상이다. 지금까지 110조8000억원(액면가 기준) 규모의 부실채권을 사들였던 캠코는 현재 이 가운데 37조2000억원어치를 갖고 있다.

그는 "지난해 말 효성과의 매각협상이 결렬됐던 대우정밀은 예비협상자인 S&T컨소시엄이 적극적인 인수 의사를 보이고 있어 상반기 중 매각이 마무리될 전망"이라며 "이달 중 예비입찰을 실시하는 대우건설은 상반기 중, 대우일렉트로닉스는 연말까지 매각을 완료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해외 진출에 대해 김 사장은 "지난해 자산관리공사법이 개정된 데 이어 이달 말 시행령이 갖춰지면 해외 부실채권(NPL) 투자가 가능해진다"며 "중국.대만.일본 등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시장에서 투자 대상과 방식을 물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공공기관인 캠코가 모든 리스크를 지는 단독투자보다는 캠코의 지명도.노하우와 은행.증권사 등 민간의 자본을 결합한 컨소시엄이나 펀드 방식이 바람직하다"며 "자산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금융회사가 수익률을 높이고, 투자 대상국은 부실 정리 기법을 전수받는 윈-윈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사장은 캠코가 맡고 있는 국유재산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도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국유재산에 대해 전수 실태조사를 해 누락되거나 소홀히 관리되고 있는 재산을 철저히 챙길 예정이다.

나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