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바로잡습니다] 정치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대연정' 발언은 3개월 가까이 정치권을 후끈 달궈 놓았습니다. 하지만 대연정 발언의 의미와 내용을 국민 입장에서 진단하고 평가하기보다 정치적 노림수와 셈법 분석에만 매달린 게 아닌가 반성합니다. 정치인들의 말을 좇다 보니 내실있는 확인보다 튀는 발언, 자극적인 발언에 더 주목했습니다. 이런 기사는 국민의 정치 혐오증만 부추기는 데 일조했을 것입니다.

8월 19일 물러나는 김우식 청와대 비서실장 후임에 김병준 청와대 정책실장이 유력하다고 보도했습니다. 청와대 핵심 인사 3명의 확인을 거쳤습니다. 그러나 정기국회를 앞두고 정책실장이 비서실장으로 옮기면 정책 라인이 연쇄 이동해 부담된다는 이유로 대안이 등장하기 시작했고, 결국 이병완 전 홍보수석이 내정돼 25일 발표됐습니다. '빠른 기사'란 의욕이 앞서 정확성에 차질을 빚었습니다.

11월 26일 한나라당이 김대중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의 불법 도청과 관련,'도청 손배소를 낸다'고 보도했습니다. 정인봉 인권위원장이 당직자회의에서 "도청 피해자 1800여 명에 한나라당 국회의원 등 주요 당직자들이 포함돼 있다. 이들을 원고로 29일 또는 30일 소송을 낼 방침"이라고 말한 것이 근거였습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아직 소송을 내지 않았습니다. 정 위원장 개인의 입장을 당의 입장인 듯 성급히 보도한 것입니다.

북한.통일 관련 기사는 당국 발표에 의존하는 한계가 있습니다. 1월 '북한 3대 세습 시사' 기사 등 김정일 체제의 후계 문제를 보도했습니다만 지속적 추적 보도가 부족했던 점, 8.15 남북 민간행사에 30억원의 남북협력기금이 들어갔으나 이중 6억원이 특급호텔에서 먹고 자는 데 쓰이는 등 혈세 낭비 문제를 심층적으로 제기하거나 개선책을 요구하지 못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