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전화 권유 조심하세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서울시와 한국소비자원이 6일 알뜰폰(MVNO) 구매와 관련해 피해 주의경보를 공동 발령했다. 지난해 한국소비자원 서울지원에 접수된 알뜰폰 관련 피해구제 신청 건수는 총 78건으로, 2013년 36건에 비해 114% 증가했다. 피해 시민의 약 64%가 60대 이상 노인으로 타 연령대(10~50대)보다 많았다. 알뜰폰 가입자는 지난달 500만명을 넘어섰다.

 피해 사례 중에는 ▶대형 이동통신사라고 속이고 가입 ▶고령·치매 노인에게 휴대전화 판매 ▶요금 면제 등을 약속한 뒤 미이행 ▶중고제품을 새 제품으로 속여 판매하는 등의 유형이 많았다. 심지어 86세 치매 노인에게 직원이 방문해 ‘공짜 휴대전화’라고 판매한 뒤 자녀가 해약을 요구하자 위약금을 내라고 한 사례도 있었다.

 소비자원 측은 “알뜰폰 판매점들이 전화를 이용한 비대면 판매를 주로 하고 있어, 노인들이 쉽게 속거나 이용당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알뜰폰 판매 유형으로는 46.1%가 전화 권유였으며, 그 뒤를 일반판매(35.9%), 기타 통신판매(5.1%) 순이었다. 정광현 서울시 민생경제과장은 “노인들은 전화권유에 취약해 피해를 당하기 쉽다”면서 “판매자 신원을 알 수 없는 전화권유보다 대리점을 이용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조언했다.

이현택 기자 mdf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