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개별이전 방침" 경북도, 건교부에 혁신도시 협의서 보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경북도 혁신도시 발표 때 일부 공공기관의 '개별 이전'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탈락한 시.군이 또 다시 유치전에 나서고 있다. 주민의 실망감을 치유할 수 있는 데다 경북도의 7개 산하기관을 동시에 유치하면 실리도 어느 정도 챙길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개별 이전 대상 기관으로 거론된 곳은 한국전력기술㈜과 교통안전공단이다. 이에 따라 지역마다 개별 공공기관과 도 산하기관 유치를 위한 활동을 시작했다.

◆'개별 이전' 어떻게 되나=경북도는 '김천 혁신도시 협의 요청서'를 19일 건설교통부에 보냈다고 밝혔다. 협의 내용은 김천 혁신도시의 개발 방향과 공공기관의 개별 이전 여부다.

경북도는 곧 건교부, 13개 공공기관과 협의해 개별 이전 대상 기관과 지역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공공기관의 개별 이전 여부는 건교부가 결정할 사안"이라면서도 "일부 기관을 김천 이외 지역에 배치하겠다는 것이 도의 방침"이라고 밝혔다. 도는 7월 27일 건교부가 발표한 입지선정 지침과 8월 30일 공공기관.건교부 등과 체결한 '공공기관 지방이전 기본협약'에 이 내용이 명시돼 개별 이전에는 별 문제가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반대 여론도 있다.

분산 배치할 경우 혁신도시의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란 이유에서다. 분리 배치될 공공기관의 반발도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혁신도시를 유치한 김천시도 반발하고 있다. 김천시 관계자는 "엄격한 평가를 거쳐 혁신도시가 결정됐다"며 "개별 이전은 혁신도시의 취지에도 어긋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도 산하기관의 이전은 경북도가 배치 기준을 세운 뒤 의회와 협의해 결정할 방침이다.

◆유치전 가열=상주.안동.영천.경주시가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이들 지역은 13일 혁신도시 발표 이후 분산 배치를 요구하며 경북도를 항의 방문하는 등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일부 지역은 시민궐기대회 등 집단 행동에 나설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혁신도시 입지 평가에서 2위를 한 상주시는 한국전력기술과 경북도 산하 7개 기관 배치를 촉구했다. 상주시 지역혁신사업단 김용묵 팀장은 "지역 균형 발전과 탈락 지역에 대한 정서를 고려해 도가 신속하게 후속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동시도 경북 북부의 중심도시인 안동에 한국전력기술을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휘동 안동시장은 혁신도시 발표 다음날 경북도를 방문해 이의근 지사에게 한국전력기술의 안동 이전을 요청했다.

시 관계자는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만들기로 한 혁신도시가 수도권과 가깝다는 이유로 김천에 배치됐다"며 "한국전력기술은 반드시 안동에 와야 한다"고 말했다.

경주시는 원전과 방폐장이 있는 경주에 유관기관인 한국전력기술이 오는 것은 당연하다고 주장한다.

영천시는 교통안전공단의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경산.영천.경주.울산 등 자동차부품산업 벨트의 한가운데 위치한 영천에 관련 기관을 이전해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도 산하기관의 배치도 요구하고 있다.

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