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E] 생각 키우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② 단오는 우리나라 4대 명절입니다. 단오의 세시풍속과 시절음식은?

③ 강릉 단오제는 종합축제입니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인정받은 외국 축제를 세 가지만 들어보세요.

④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

⑤ 강릉 단오제 외에도 세계무형유산에 등록된 우리 문화재는 종묘제례와 제례악.판소리가 있습니다. 이들 무형문화재는 어떤 점이 뛰어나 지정됐고, 강릉 단오제가 선정된 까닭은 무엇인가요?

⑥ 세계문화유산으로 인정받은 우리 유형문화재 7가지를 들어보세요.

⑦ 강릉 단오제의 주요 행사엔 어떤 것들이 있나요? 과거 강릉 단오제 행사 내용을 신문에서 찾아 주제신문으로 만들어도 좋아요(타블로이드판 2장 분량).

⑧ 강릉 단오제에서 모시는 3신의 신화를 공부하세요.

⑨ 강릉 단오제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포스터나 광고를 만들면 어떨까요. 세계무형유산 선정을 알리는 기사를 작성해도 괜찮아요.

⑩ 강릉 단오제는 무형문화재로 전승자인 인간문화재가 있습니다. 그 가운데 한 분을 정해 어떤 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인간문화재가 되기까지 삶은 어떠했는지 신문기사 등을 찾아 전기문을 작성하세요(1200자).

⑪ 우리 무형문화재 가운데 세계문화유산이 될 만한 것을 골라 추천서를 꾸며 보세요(1200자).

☞옹기장(중요무형문화재 제96호), 처용무(제39호), 제주도의 칠머리당굿(제71호), 나전장(제10호) 등.

⑫ 강릉 단오제를 세계무형유산으로 신청하자 중국은 자국의 단오절과 비슷하다며 딴죽을 걸기도 했어요. 이는 고구려사를 자기네 역사라고 우기는 동북공정과 맥을 같이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중화주의를 문화적인 관점에서 비판하는 글을 써 보세요(1200자).

※참고하세요=2003년 12월 16일자 25면('세계무형유산' 지정된 판소리 "우리 것이 소중한 것이여"), 2004년 9월 24일자 19면("지금은 무형문화재 전쟁 중"), 2005년 11월 26일자 1면(강릉 단오제, 세계 무형유산 걸작에), 2005 강릉 단오제 홈페이지(www.danojefestival.or.kr) 등.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