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구책 미흡땐 SK글로벌 청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SK글로벌의 회생을 위한 자구계획안 내용을 놓고 채권단과 SK그룹이 막판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분식회계에 따른 손실 부담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을 경우 청산 절차를 밟겠다는 채권단의 압박에 SK 측은 계열사의 동반부실을 강요하는 채권단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하고 있어 끝내 조율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청산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채권단은 27일 "SK그룹이 28일까지 1조원 이상의 출자전환(빚을 자본으로 바꾸는 것)을 포함한 자구계획을 제출하지 않으면 청산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SK 측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채권단 고위 관계자는 "SK그룹 측이 28일 오전 SK㈜의 이사회를 개최할 예정이어서 자구계획 제출 시한을 하루 연기해 달라고 요청해 왔다"며 "이 시한을 넘길 경우 더 기다리지 않고 채권단의 의결을 거쳐 법원에 청산을 전제로 한 법정관리 개시를 신청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채권단은 SK㈜가 SK글로벌로부터 받아야 할 외상 매출 1조5천억원 중 5천억원은 탕감하고 나머지 1조원 전액을 출자전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SK㈜가 SK글로벌로부터 받을 돈은 2조1천억원이지만 갚아야 할 돈이 6천억원이어서 순수하게 받아야 할 외상 매출은 1조5천억원이다.

SK 측은 이에 대해 "청산하려면 하라"고 강하게 맞서고 있다.

SK글로벌 정상화추진본부 대변인인 이노종 SK구조조정본부 전무는 이날 본지와의 전화통화에서 "채권단 요구를 받아들일 경우 SK㈜ 이사회 멤버들은 회사에 의도적인 손실을 끼쳤다는 이유로 형사처벌 대상이 되기 때문에 국내 매출채권 전액을 출자전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김영욱.홍병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