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 당헌 개정 놓고 격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열린우리당은 5일 계파별로 하루 종일 분주하게 움직였다. 비상대책위 산하 당헌.당규개정소위가 마련한 '당헌 개정안 1차 보고서' 때문이다. 당 의장 중심의 중앙집권 강화와 기간당원제 완화가 주요 내용이다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인 곳은 유시민.이광철 의원 등이 중심이 된 참여정치실천연대(참정연)다. 참정연 관계자는 보고서에 대해 "당내 다수파가 줄기차게 주장했던 것"이라며 "창당 정신을 무시한 쿠데타적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만약 이런 개정안을 밀어붙일 경우 그 세력과는 함께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노무현 대통령도 수용하기 힘들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개정안에서 합당 수임기구인 '전국위원회'를 신설토록 한 것은 민주당과의 합당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시민 의원도 "더 이상 뭐라고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난감해 했다. 참정연 김희숙 대변인은 "이 같은 안이 정말 다수 의견인지 검증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정동영 통일부 장관계는 "당헌을 놓고 당이 또 싸움질하는 것으로 비칠까 두렵다"는 반응을 보였다. "지금은 계파별 유.불리를 따질 때가 아니라 위기에 빠진 당을 구하는 게 급선무"라는 것이다. 정 장관 측 인사는 "당내 다수가 지도부의 책임.권한을 조화시켜야 한다는 데 동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장관계로 분류되는 한 의원은 "업무 효율을 위해서라도 권한 강화는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근태 복지부 장관계는 신중론을 이어갔다. 김 장관 측은 "일부 수정이 필요한 부분도 있지만, 기간당원제와 원내정당화라는 창당정신이 흔들려선 안 된다"고 말했다.

김선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