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 내신반영률 동결 |문교부 총점의 30-50%수준 그대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대입 내신성적 반영률이 내년에도 금년수준에서 동결된다. 문교부는 그동안 대학입시제도 보완작업과 관련, 내신성적 반영률을 다소 낮출 것을 검토해왔으나 85학년도 대학입시에서도 84학년도와 같은 수준으로 묶어 대학에 따라 전형총점의 30∼50%를 반영토록 20일 확정했다.
문교부의 이같은 방침은 ▲고교교육의 대학입학 학력고사 준비교육 일변도를 막고 ▲학력고사성적이 좋은 대도시 고교로의 인구집중을 억제, 지방고교를 육성할 수 있으며 ▲내신성적이 좋은 학생이 대학입학후의 학업성적도 대체로 좋게 나타나는등 내신과 학업성취도간의 상관관계가 높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문교부는 84학년도 입시가 끝난뒤 현행입시제도가 ▲완전한 선시험-후지원체제로 수험생의 「눈치작전」과 지원과정에서의 사행심 조장등 비교육적 요인을 안고 있으며 ▲학력고사성걱과 일치하지 않는 내신성적을 30%이상 반영하는 것은 불공평하다는 여론에 따라 연구팀을 구성, 3월중에 현행제도를 근간으로 문제점을 보완하는 내용의 개선방안을 검토해 왔었다.
문교부는 「7·30」교육개혁조치로 81학년도에 시작된 현행입시제도에서 고교내신성적 반영률을 전형총점의 20%이상으로부터 연차적으로 높여 82년 30%이상, 83년 40%이상, 84년 50%이상등 결국은 고교내신성적만으로 대학입시를 치르도록 할 계획이었으나 이번 동결조치로 30∼50%반영률은 82년부터 3년째 묶이게 됐다. 한편 문교부는 현재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구팀의 검토가 끝나는대로 선시험-후지원과 대학별 선발기능이 전혀 없는데 따른 현행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있는 대학별 작문(논문)시험부과·대학별 원서접수기간 차등조정등의 채택여부를 결정, 내주중에 발표할 예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