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촌동에서』…기교는 능하나 푸근한 안정감 부족, 『석공의 노래』…무리없는 전개, 참신한 언어 돋보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보내온 시조를 보아가면서 종장이 아쉽다는 생각을 합니다. 물론 즐겨쓰는 평시조(단형시조)의 종장을 두고 하는 말입니다. 짓는 법을 기(초장), 승(중장), 전결(종강)로 풀고 어느 분은 유(초장), 곡(중강), 절해(종장)로 풀이합니다.
초장과 중장이 압축과 탄력이 강할 경우엔 종장에선 감돌아 풀면서 가만히 마무르며 놓는 방법도 있을것이고, 반대로 초장과 중장이 비교적 순순하고 마디가 적은 상을 이끌어 왔다면, 아무래도 종장은 보다 급박해야 하고 야무지게 꺾고 진한 마무리를 해야할 것입니다.
때문에 시조의 꽃은 바로 종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기성인의 종장을 보면 <바람도 햇볕도 숨을 죽이네. 나도 아려 눈을 감네><흰 장지 구만리 바깥 손 내밀듯 보인다><내 죽어 내 묻힐 땅이 구름밖에 저문다><허전히 그러나 넉넉히 어루만질 뿐이다><지그시 과녁안으로 죄어드는 저 초점><어둠도 고운 애정에 삼가는 듯 둘렸다><두 손에 마음을 접어 고개 숙는 이마음>등 각기 마무르는 방법이 다름을 봅니다. 물론 초장과 중장에 따라 다르겠지만 그보다 작자의 역량과 개성에 따라 다릅니다. 필자는 종장 하나만으로 작자의 인품까지를 볼수 있습니다.
안의 선의 『평촌동에서』는 비교적 기교가 능한 일면을 보게 되고, 또 그만큼 가작일 수도 있지만 푸근한 안정감이 결여된 점은 시의 바탕이 깊지 못한 때문.
정판조의『자수』는 비교적 흔한 소재를 잘 전개시키고 있습니다. 다소 불만스러운 점은 누군가 이미 지어 부른 듯한 관념의 노출이 그것입니다.
이연희의 『석공의 노래』는 석공을 통해 무리없이 플어가는 시와 전개와 진부하지 않은 언어가 끌림니다. 「팔매질 하얀 이마 배어나는 혈흔이여」등이 그것.
김정의『봄비』는 문득 잡은듯한 시상이 미소가 어릴 만큼 산뜻합니다. 단수의 묘를 잘 포착했다고 봅니다.
최길하의『매』는 오랜 숙련의 흔적을 느끼게 합니다. 종장만 보다 신중했더라면 수작이 될뻔 했습니다. - 이상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