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삶과문화

선배는 후배를 가르치면 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짐작했던 대로 오케스트라가 무대를 가득 메우고 있었고 오케스트라와는 별도로 편성된 소악단이 무대 양쪽에서 소리를 보탰다. 놀랄 만한 것은 합창단의 숫자였다. 오케스트라 뒤편 객석을 임시로 합창단석으로 만든 곳에 서 있는 인원을 세어 보려고 했으나 바둑판의 교차점 361보다 훨씬 더 많은 것 같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객석은 꽉 찼고 음악에 대한 이해 수준도 높은 듯 좋은 연주가 나오면 박수와 환호가 터지고 밉지 않은 휘파람 소리까지 들리곤 했다. 말러의 교향곡을 연주하는 대학 콘서트에 이토록 많은 관객이 와 연주자와 함께 호흡하며 음악을 즐기는 수준이라면 우리나라도 음악에서만큼은 선진국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중간에 휴식시간이 있어 극장 밖 복도에 나왔다. 화장실 앞에서 줄을 서서 기다리는 동안 일행에게 극장 안에서 내가 느낀 그대로를 이야기했다. 그러자 1주일이 멀다 하고 클래식 연주회에 참석하는 음악 애호가가 웃으며 말했다. "저 사람들이 왜 온 것 같아? 무대에 올라간 사람들이 가족이거나 친구라서 온 거야. 아니면 우리처럼 공짜 표를 받았든가."

최근에 나는 우리나라에서 매년 음대 졸업생이 6000명이나 배출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이 중에 자신의 전공과 관련된 길을 가는 숫자가 얼마나 될까. 클래식 음악의 전문 연주가가 되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비용이 들 것이다. 청소년기 내내 힘겹게 기예를 익혀야 하고 레슨까지 받아야 대학에 갈 수 있다. 이렇게 어려운 과정을 거쳐 대학을 졸업해도 음악인으로 살아가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 같다. 진짜배기 예술가라면 세속적인 가치에 연연할 필요가 없고 취직이나 밥벌이는 안 돼도 그만이다? 그럼 요새같이 모든 것이 수입과 명성으로 평가받는 세상에서 과연 누가 예술을 하려고 할까.

예술은 숫자나 경제논리로 환원될 수 없는 가치가 있다. 우리의 삶을 깊고 아름답게 만들고 국가와 사회의 건강성과 수준을 높인다. 그렇다면 수익자인 우리 각자가, 국가와 사회가 이런 가치를 창출하는 예술가들을 존중하고 그들이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바탕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우리.국가.사회의 품이 아직 거기까지 넓어지지는 못한 것 같다.

당연히 음악계만의 문제가 아니다. 미술.무용.문학 같은 다른 예술 분야는 물론이고 기초학문, 각광받지 못하는 모든 전문 분야가 그렇다. 이들이 일정한 과정, 그러니까 따뜻한 콘서트홀과 같은 대학을 졸업하고 세상으로 나가 할 수 있는 일이라는 게 기껏 자신의 후배들인 중.고생들을 자신처럼 대책 없이 막막한 길을 가도록 가르치는 것뿐인가. 그 후배들은 또 자신의 후배들을 가르치면 되고?

오늘도 내가 사는 아파트 입구 게시판에는 대입 전문 레슨.과외를 한다는 광고가 여러 장 붙었다. 오징어다리처럼 갈라진 종이쪽에 적힌 전화번호가 맥없이 흔들리고 있다.

성석제 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