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대학 제적생 위원회 구성 집단 복학 교섭 요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문교부 당국자는 27일 지난 연말 정부의 제적 학생 구제 조치 이후 서울대를 비롯한 20여개 대학의 3백여 제적생들이 이른바 「제적생 복학 추진위원회」를 만들고 당국의 조치를 정치적으로 악용, 사회 혁명의 중간 수단으로 이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들 일부 제적생들은 "복학 교섭은 대표기구를 통한 집단적 형식으로 이뤄져야 한다" 면서 대학의 자율적 복교 절차를 거부하고 있고, 복교의 선행조건으로 ▲ 현재의 학원질서 유지 체제를 전면적으로 철폐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 사회의 민주화라는 구실을 붙여 궁극적으로는 사회 질서 장치의 전면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또 이들이 자유민주주의 체제 자체를 타도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이번 제적생 구제조치를 80년 방식으로 하자고 주장, 5·17 이전의 극심한 혼란상으로 대학가를 몰고 가려는 의도를 분명히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현재 제적생의 복교 문제는 대학의 자율적인 재량에 일임했다고 말하고, 각 대학은 제적생들의 지난 과오를 따지지 않고 이들이 대학에 돌아와 「학업에 정진할 다짐」만하면 복교를 허용한다는 방침아래 복교 절차를 추진해 가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경인지역 대학의 제적생 30여명이 지난 5일 저녁 나환자 구호 모금 협외를 위장해 서울 여의도 성당에서 「경인지구 제적 학생 복교 대책위원회」를 결성, "대 정부 대화 창구는 연합체로 일원화한다」는 결의까지 했다고 밝히고 26일 밤에는 서울 기독교 회관에서 있었던 목요 예배 때 경인지구 제적 학생 복교 대책위원회의 결성보고가 있었으며 「이대 복학 추진위원회」이름으로 "우리들의 어머님·아버님께 드립니다"라는 유인물을 낭독하는 등 대학의 자율적 복교 절차를 거부하고 단체 교섭적 투쟁을 표방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교부 당국자가 밝힌 일부 대학 제적생들의 움직임은 별표와 같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