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 줄구속 … 경기도 광주 '오포 비리'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7면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일대의 아파트 개발 의혹과 관련한 대검 중수부의 수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검찰이 일부 중앙부처 인사의 개입 정황을 포착하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개발 열풍이 거세게 불고 있는 오포읍 일대 건설공사와 관련, 지난해 말부터 최근까지 이 지역 국회의원과 시장, 시의원 등이 건설업체에서 금품을 받은 혐의로 줄줄이 구속기소됐다.

경기도 산하기관인 경기개발연구원의 한현규 원장이 4일 구속된 것까지 포함하면 지금까지 5명의 정.관계 인사, 건설 브로커 등이 구속됐고, 돈을 건넨 시행사 대표 2명이 불구속기소됐다. 검찰 조사 결과 이들이 주고받은 뇌물.부당 이득 액수만도 50억원에 이른다.

◆ '대박'노린 업체 경쟁이 화 불러=오포읍 지역은 분당과 맞닿아 있고, 용인 수지와 광주를 연결하는 국도가 관통하는 등 개발 수요가 큰 곳이다. 판교 신도시와도 5㎞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그러나 '수질오염총량제' 등 정부의 개발 규제 정책으로 지난 5년간 개발이 억제돼 왔다.

수질오염총량제는 환경부 장관이 오염물질 배출총량을 정한 뒤 해당 시.군수가 이를 지킬 수 있는 한도 안에서 해당 지역의 아파트 등의 건축을 허용하는 제도다.

광주시는 2007년까지 아파트 8000세대를 추가로 짓기로 지난해 환경부와 합의했다. 이 물량은 업체들이 광주시에 짓겠다고 신청한 4만 세대의 20% 수준이다. 광주시는 8000세대 중 일부를 각 업체별로 배분했다.

결국 업체들은 아파트 건축 인허가를 받기 위해 치열한 로비전을 펼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검찰에 따르면 박혁규 전 한나라당 의원과 김용규 광주시장, 한 원장 등은 모두 해당 지역의 아파트 건설시행사인 J.L건설 등으로부터 거액의 금품을 받았다. 경기개발연구원은 광주시의 의뢰로 아파트 건축 물량을 업체에 배분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 로비 단서 캐는 데 수사력 집중=검찰은 업체들이 박 전 의원과 한 원장 등을 통해 중앙부처와 다른 정.관계인사들에게 로비를 벌인 단서를 캐고 있다. 검찰은 건설 브로커 2명을 출국금지하고 검거에 나섰다.

검찰 관계자는 "지구단위계획 변경, 수질오염 총량 배정 등의 과정에서 관련 부처들이 이권을 챙겼는지를 수사 중"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광범위한 계좌 추적을 통해 구체적 증거를 찾고 있다.

김종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