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서 '청동 유물' 발굴됐다…"국내 최대 수준의 수량과 종류"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충주서 청동 유물이 발굴됐다. 유구와 유물들은 충주를 포함한 중부 내륙지역의 문화상을 밝혀주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충청북도 충주시 종합스포츠타운 조성사업 부지 내 유적에서 지난해 8월부터 진행된 발굴조사 결과 구석기 유물포함층을 비롯하여 초기 철기시대와 통일신라∼조선시대 무덤, 숯가마 등을 발견했다고 19일 전했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초기 철기시대 무덤은 돌무지나무널무덤 1기와 나무널무덤 2기 등 총 3기다. 그 중 돌무지나무널무덤은 상·하 2단으로 굴착하여 묘광(墓壙, 관을 넣기 위해 판 구덩이)을 만들었으며 하단의 묘광에는 통나무관을 놓고 묘광 상부까지 강돌[川石]로 내부를 완전히 채웠다. 돌무지나무널무덤은 지하에 직사각형의 구덩이를 파고 나무관을 놓은 후 그 위를 돌로 채운 무덤 양식을 의미한다.

돌무지나무널무덤에서는 세형동검 7점, 청동 잔줄무늬거울 1점, 청동 투겁창 3점, 청동 꺽창 1점, 청동 도끼 1점, 청동 새기개 4점, 청동 끌 2점 등의 청동유물 19점과 검은 간토기가 출토됐다. 청동 투겁창은 나무 자루를 끼우는 청동 창이며 청동 꺽창은 나무 자루를 묶어서 연결하는 청동 창이다. 청동 새기개는 끌의 한 종류인데 앞쪽이 뾰족하여 새기개로 주로 사용된다.

발굴조사단은 이번에 발굴된 무덤을 기원전 2~1세기경, 충주를 중심으로 형성된 강력한 세력의 수장의 묘로 보고 있다.

지금까지 돌무지나무널무덤은 주로 전라남도나 충청남도 지역에서 확인돼왔다. 이에 비해 이번에 조사된 돌무지나무널무덤은 충청북도에서 확인된 드문 사례다. 또 고분 구조가 온전히 남아 있는 예가 거의 없었는데 이번에 조사된 무덤은 유구 잔존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무덤의 축조방식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세형동검, 잔줄무늬거울 등 7종 19점에 달하는 청동유물은 그 수량과 종류에서 볼 때 국내 최대 수준에 속한다. 앞서 1971년 전라남도 화순군 대곡리에서는 이번에 출토된 세형동검, 잔줄무늬거울, 청동 새기개와 더불어 청동 방울 등이 함께 발견돼 1972년 국보 제143호로 일괄 지정된 바 있다.

한편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의 허가를 받아 (재)중원문화재연구원(원장 강경숙)에서 발굴조사 중인 충청북도 충주시 종합스포츠타운 조성사업 부지 내 유적에 대한 현장설명회는 19일 오전 11시에 개최된 바 있다. 20일 오후 2시에는 일반인에게 발굴현장이 공개돼 누구나 발굴성과를 확인해볼 수 있다.

온라인 중앙일보
‘충주서 청동 유물 발굴’ [사진 문화재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