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서도 국산품애용운동|"일본상품 등 물리치자"…관민합동 캠페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미국에서는 요즘 국산품 애용운동이 한참이다. 세계제일의 경제력을 자랑하는 미국도 일본 등지에서 물밀듯이 쏟아져 들어오는 외래상품에 대항, 자국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국산품애호 운동을 관민합동으로 벌이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말 개 정된 육상수송원조 법에서는 고속도로건설 때 철강·시멘트 등 자재를 1백% 미국제품으로 써야 한다는 의무조항이 새로 붙여졌다. 개정 전에는 철강 중 일부 제품만 규제대상이 됐었다.
철도차량의 경우도 미 현지조달비율이 51%이상이고 최종조립은 미국 안에서 해야 한다는 의무조항이 붙어 있지만 최근 들어 규정이 한층 더 엄격히 운용되고 있다.
일례로 최근 일본의 동급차량과 삼정물산이 수주한 클리블랜드 시의 지하철차량 60대의 경우 최종조립지역을 클리블랜드로 못박고 반제품 수송 때에는 미국 선을 사용하고 하역도 클리블랜드에서 할 것들을 요청하고 있다.
각주단위의 바이 아메리칸 정책(미국상품의 우선 구매 정책)도 한층 강화되고 있다. 미국에 50개 주중 41개 주가 어떤 형태로건 주 산 품을 우선 구매토록 규정하고 있고 미네소타 등 10개 주는 명확히 바이 아메리칸을 규정하고 있다. 철강제품의 규제가 특히 심하다.
기업 등 민간레벨에서도 마찬가지. 재너럴모터즈(GM)사는 철강구입 선을 미국메이커로 한정시키는 한편 최근에는 3백대의 로보트를 사들이면서 미국 6개 사 만을 불러 입찰에 참여시켰다.
ATT사는 광통신시스템 입찰 때 l번으로 응찰한 일본후지쓰를 국방상의 이유로 제의시키고 자회사인 웨스턴일렉트로닉스사로 결정해 버렸다. 이같이 국방상의 이유를 들어 외국업체의 참가를 막는 방법도 곧잘 쓰인다.
최근 미 육군이 입찰을 실시한 발전소건설공사에 미국업체 외에도 일본·캐나다 등 이 경합을 벌였으나 현지조달비율을 51%에서 1백%로 변경시켜 결국 미 업체만이 응찰할 수 있게 된 경우도 있다. 이밖에도 섬유·자동차부품업계에서도 적극적인 미국상품애용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일본경제=본사특약>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