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여야 두 여성의원, TV광고 정책에 일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 윤원호 의원

▶ 박찬숙 의원

방송광고 제도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일부 지상파 방송에 유리한 쪽으로만 광고 정책이 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매체 균형발전을 이끌어야 할 정부(문화관광부)가 이 흐름을 주도한다는 게 논란의 요지다. 문화부가 4월부터 운영해 온 TF(태스크 포스)팀은 최근 "가상광고 도입에 합의했으며 간접광고(협찬노출) 허용, 복수 미디어렙(광고대행사)도입은 다수 의견"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냈다. 이런 가운데 22일 문화부에 대한 국정감사가 열린다. "광고 정책, 이대로는 곤란하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두 여야 의원을 미리 인터뷰해 정치권의 시각을 들어봤다.

"전 국민이 보는 드라마에 노골적인 광고를 하는 건 방송의 횡포입니다. 지금도 특정 기업을 홍보하는 내용이 범람하고 있어요. 법으로 막아도 이 정도인데, 규제를 풀면 문제가 심각해질 겁니다. "

열린우리당 윤원호 의원은 최근 문화부가 추진 중인 방송광고 정책에 대해 우려의 시각을 쏟아냈다. 국민 시청권을 훼손하고 매체 균형발전이란 큰 틀을 허물 거라는 논리다.

간접광고와 관련, 그는 "돈 내고 보는 영화 등과 지상파 방송은 분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 재산인 전파를 사용하는 지상파 방송에 무차별 광고를 허용할 경우 공익성은 위태롭다는 것이다.

특히 그는 일각에서 간접광고 허용의 논리로 '한류'를 드는 점에 대해 반박했다. 최근 드라마 '루루공주'의 주연 김정은이 간접광고 문제를 성토했을 정도로 지금도 상황이 심각하다는 게 윤 의원의 설명. 이를 법으로까지 허용하면 드라마의 질 저하는 불 보듯 뻔하다는 것이다. 윤 의원은 "간접광고로 한류 덕을 보려다 한류까지 죽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윤 의원은 "방송정책권을 가진 방송위원회를 제치고 문화부가 전면에 나서는 걸 이해할 수 없다"며 "인쇄매체나 군소방송 등을 코너에 몰아넣는 정책을 즉각 중단하라"고 강조했다.

한나라당 박찬숙 의원은 방송인 출신이다. 시사 프로그램 진행자로 명성을 날렸다. 하지만 그는 친정에 대한 광고정책에 대해선 엄격하다. 시청자 이익이 우선해야 한다는 믿음에서다. 박 의원은 21일 "최근 문화부가 메이저 광고주와 일부 방송의 이해를 대변하는 듯한 정책에 골몰한다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그 여파로 시청자 주권은 실종돼 간다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2004년 총 광고비 6조5000여억원 중 방송광고는 2조5000억원을 차지했다. 그중 KBS.MBC.SBS가 86%인 2조1400억원을 기록했다. 박 의원은 "심각한 광고시장 독점"이라고 설명한다. 반면 인쇄매체, 특히 신문의 경우 시장 축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데도 독과점 지위의 특정 방송을 돕는 쪽으로 정책이 집중되면 미디어시장은 더욱 왜곡된다는 게 박 의원의 주장이다.

박 의원은 구체적으로 "가상광고와 간접광고의 허용은 '프로그램 속 광고'를 공식화하는 것"이라며 "열악한 외주제작 현실을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협찬사를 의식한 대사와 장면이 반복되는 건 시청자 주권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시청자 권리와 방송 공익성을 훼손하면서까지 관련 업계의 입장을 충실히 반영하는 건 '방송의 상업화'에 다름 아니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