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값만 뛰고 거래 끊겨|특정지 고시… 실세화 방안 발표따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아파트투기를 막기 위해 아파트분양가격 실세화원칙이 발표되고 잇따라 두 차례에 걸쳐 특정지역이 고시되자 서울시내 기존아파트는 값만 뛰고 거래가 거의 중단상태다. 이와 함께 정부가 아파트 분양가격을 실세화 하겠다고 발표만 하고 갈팡질팡 20여일 지나는 바람에 주택건설업체가 눈치를 보느라 분양이 올스톱, 자칫하다간 올해 주택건설에 큰 차질을 빚게 될 것 같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세청이 8일0시를 기해1차로 고시된 개포와 압구정동이외에 서초·반포·잠원·방배·도곡·대치·여의도동을 아파트특정지역으로 고시하자 이 지역의 아파트거래가 대부분 중단상태에 들어갔다.
1차발표 이후 이들 지역은 아파트특정지역에서 제외돼 값이 오르고 그런대로 거래가 이루어졌으나 추가고시를 계기로 나왔던 실물이 도로 들어가고 사려는 사람의 발길도 부쩍 줄었다.
그러나 기존아파트값과 미입주 아파트의 값은 실물 부족 속에 보합세를 보여 떨어질 기미는 없다. 업계는 오히려 양도소득세 중과에서 제외되는 1가구1주택 거래가 서서히 시작되면서 얼마 뒤쯤 값이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함께 올해 들어 연초에 러시를 이루던 아파트분양이 2월1일부터 공정10%이후 분양토록 한데다 실세화방안이 확정되지 않아 극히 부진한 상태다.
대형아파트 건설회사들은 올해 모두 4만1천7백32 가구분의 아파트를 분양할 계획이나 9일 현재 3·3%인 1천3백84가구 밖에 분양하지 못했다.
한국도시개발이 2월중 개포에 4백16가구, 한양이 압구정동에 90가구의 아파트를 분양할 계획이었으나 투기를 조장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한 정부의 종용으로 분양을 무기한 연기했다.
또 신동아·오양(가악동)·삼성종합건설등은 신규아파트를 분양하기 위해 사업승인을 받았으나 공정10%이후에 분양해야 한다는 규정에 묶여 아직까지 분양하지 못하고 있어 2월중순이후 3윌 안에는 신규아파트 분양이 없을 것 같다.
이밖에 아파트건설업체 대부분이 정부의 실세화방안 확정이후 주택건설이 수지맞을지 저울질하느라 착공을 보류한채 눈치를 살피고있다.
이에 대해 주택업계는 하루빨리 정부가 실세화방안을 매듭지어 줄 것을 요망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